이맘때 쯤 풋 열매를 따서 술을 담그거나 엑기스를 만들어 먹는 것으로 유명한 매화나무, 이 매화를 너무나 사랑한 퇴계(退溪)선생은 그냥 매화라 하지 않고 매형(梅兄), 매군(梅君), 매선(梅仙)이라는 존칭으로 대하였습니다. 지금도 도산서원의 뜰에는 매화나무가 열매를 맺어 보기좋게 송알송알 달려 있네요. |
도산서원(陶山書院)은 경북 안동 도산면 낙동강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도산서원을 일반 대중들께 가장 널리 알려 준 것이 바로 1000원권 지페인데 구 1000원권 지폐 뒷면의 그림이 바로 도산서원 풍경입니다.(위 그림 참조) 도산서원을 방문하는 이들은 대개가 지폐를 한장 들고 실물과 그림을 비교하는 재미를 가졌었지요. 도산서원은 퇴계가 말년에 내려와 후학들을 가르치는 조그만 서당(도산서당)이었는데 이것을 퇴계 사후에 선조의 명으로 증축하고 고쳐지어 서원으로 만든 것입니다. |
신권의 앞면에는 조선 최고의 교욱 기관이었던 명륜당과 퇴계가 그리 아끼던 매화가 20포기 정도 그려져 있습니다. 죽기 전 마지막 남긴 말도 '매형(梅兄)에게 물 잘 주라.'고 하였지요. |
이런 저런 이유로 1000원권 지폐는 크기도 줄어 들었고 그 도안이 바꿨는데 지금 사용 중인 지폐의 뒷면에는 이제 도산서원의 실물 그림은 없어지고 겸재 정선의 말년 작품인 계상정거도(溪上靜居圖)가 실려져 있습니다. 이 그림은 퇴우이선생진적(退尤二先生眞蹟)이란 서화첩에 소개되어 있는데 이황과 송시열의 호인 퇴계와 우암을 선생으로 기리는 뜻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계상정거도는 퇴계가 죽고 177년이 지난 다음 겸재 정선이 71살의 노년에 그린 그림입니다. |
근데 이 지폐가 발행되고 나서 위의 그림을 가지고 논란거리가 생겼습니다. |
걸어 들어가는 길은 꼭 시멘트 포장길처럼 보이지만 흙길이라 발 밑이 간지러운게 정말 기분 좋습니다. 목적지가 어느 사찰이라면 분명 시멘트로 포장이 되었을 것인데 그나마 서원길이라 이렇게 흙길로 남겨져 있는 것이 너무 행운입니다.
도산서원 앞에는 섬처럼 보이는 정자가 하나 보이는데 이건 안동댐 공사로 수몰되어지는 건물을 9m나 돋우어 올린 것입니다. 옛날 정조때 과거를 보던 장소로서 시사단(試士壇)이란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도산서원에 도착. 집들이 모두 정갈하게 보여지고 6월의 녹음이 더하여져 싱그럽습니다.
퇴계가 두향을 잊지 못하여 손수 물을 길어 보냈다는 그 우물. 열정(冽井).
내려다 보니 푸른 하늘이 보이네요. 두레박만 있었다면 길러 두향이 퇴계의 안녕을 비는 정한수로 사용 했다는 그 물 맛을 같이 한번 느껴 보고 싶더이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금송입니다. 이 서원과 퇴계를 상징하던 회화나무는 말라 죽고 일본 왕궁을 상징하는 이 나무는 펄펄 살아 있다는 것이 조금 거시기 합니다. 키도 너무 커서 전체 분위기를 해치는 것 같구요. 퇴계후손의 종택에서 이 나무에 대하여 말들이 많은가 봅니다.
또 하나의 우물인 몽천(蒙泉)
'산골에서솟아나는 바가지샘을 [역경]몽괘(夢掛)의 의미를 취하여 몽천이라 하고, 몽매한 제자를 바른 길로 이끌어가는 스승의 도리와. 한방울 샘물이 솟아나와 수많은 어려움을 거쳐 바다에 이르듯이 제자들은 어리석고 몽매한 심성을 밝게 깨우쳐서 한방울의 샘물이 모여 바다가 되듯이 끊임없이 노력하여 자신의 뜻을 이룩하라는' 엄청난 교훈을 주고 있는 우물입니다.
도산서원 이전에 원래 있던 서당 건물. 퇴계 사후 선조가 나머지 뒷편 건물을 증축하여 서원으로 만든 것입니다.
매실이 예쁘게 많이 달려 있습니다.
광명실(光明室)과 그 앞에 말라 죽어버린 회화나무.
광명실은 책을 보관하는 곳인데 일전에 한번 도둑을 만나 지금은 중요한 도서는 인근의 국학진흥원으로 옮겨 놓고 일반 서적만 보관하고 있습니다. 문은 옛날 '쇳대'로 잠궈져 있고 그것을 봉(封) 해 두었네요.
이곳은 서원에서 찍어내던 목판본을 보관하던 장판각(藏板閣). 지금은 다른 곳으로 모두 옮기고 텅 비어 있습니다.
사당인 상덕사로 들어 가는 삼문(三門)
도산서원의 핵심인 전교당(典敎堂) 일종의 강당(講堂)건물로서 보물 210호로 지정 되어 있습니다. 마루에는 아무나 올라 갈 수 있습니다. 시원하네요 ~
전교당의 편액인데 한석봉의 글씨입니다. 이를 선조가 도산서원에 내려 준 것이구요.
마루에 올라가서 내려다 본 풍경
말라죽은 회화나무에 덩쿨이 타고 올라 있어 더욱 안타깝습니다.
도산서원 앞 마당에 있는 400년된 왕버드나무. 세월이 느껴집니다.
'여행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통선내의 숨은 여행지 두타연을 가다. (25) | 2011.08.23 |
---|---|
추억여행 - <흑백텔레비전 보던 그때 그 시절>展 (16) | 2011.08.16 |
세계육상선수권대회가 열리는 대구스타디움에 가 보다. (8) | 2011.08.15 |
'부산 갈맷길 걸어 보이소' - 갈맷길 전체 21구간 코스안내와 소개 (4) | 2011.08.10 |
전유성의 코미디 전용관 '철가방'과 짬뽕 피자만 파는 '니가쏘다쩨' (20) | 2011.06.27 |
도산서원과 1000원권 지폐, 그리고 퇴계이야기 (8) | 2011.06.21 |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이 있는 안동의 봉정사를 찾아서 (12) | 2011.06.14 |
통영 여행 - 동피랑마을과 미륵산 한려수도 조망 케이블카 (21) | 2011.05.17 |
천하의 명당자리로 알려진 지리산 청학동의 삼성궁과 도인촌 풍경 (27) | 2011.05.02 |
동백나무 군락지로 너무나 유명한 조그만 섬, 지심도(只心島) (28) | 2011.04.12 |
포항 죽도시장에 물회 사 먹으러 가다. (29) | 2011.03.21 |
아~ 그런내용이 있었군요. 두가님덕분에 역사의 한페이지를 공부하게 되네요.^^
구 1000원권 지폐 도산서원 그림을 잘 보면 마당을 쓸고있는 아이가 있다고 합니다.
함 찾아보시지요.
.
.
.
.
.
.
.
.
.
.
.
.
앗! 청소시간이 끝나서 서원안으로 들어갔나봅니다. ㅎㅎㅎ^^*
어제부터 오늘까지 마당쇠가 청소하러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는데
영 보이질 않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재너머 김첨지네
심부름을 갔나 봅니다.
이곳 도산서원은 그리 볼거리는 없어나
퇴계의 자취를 찾아 둘러 본다는 의미를 가지고
한번 여행 해 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아우님의 도산서원과 1000원 지폐에 얽힌 이야기를 다 보고 나니
KBS 역사 스페샬 한 편을 보는 듯 합니다..
그리고 기생 두향과의 이야기는 가슴이 뭉클해지는 기분입니다.
"정녕 가슴 하나를 베어 달라는 것이냐?"
"베어 주소서."
시적인 연애를 한다는 것이 바로 저런것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고 욕심 같에서는.......................
퍽 퍽!!
퇴계가 하였기에
애틋한 러브스토리로 되었지 어느 사또가 하였으면
완전 바람피운 이야기가 되고 말았을 것입니다.
이전에 충주호에 가서
두향이 묘를 멀리서나마 봤습니다.
참으로 이전의 러브스토리는
이렇게 애틋하여
마음으로 다가와 지는 것 같습니다..^^
계상서당과 도산서당에 얽힌 이야기가 흥미롭군요. 요즘같으면 "합성이다"고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 역사와 고즈넉한 풍경을 같이 잘 담아주셔서 잘 봤습니다.
고맙습니다. 스카이님..
역사는 흘러가고 그 뒷 자취를 더듬어 보는 것도 참 재미있는 여행이 되는 것 같습니다.
후일에 어느 누군가
스카이님이나 두가의 자취를 찾아
웹 여행을 하고 있지나 않을까요?..ㅎ
진짜 사진 잘 찍으시네요.
사용하고 계시는 카메라명 알려주실수 있는지요..후훗..
이크.. 고맙습니다. modrige님.
요즘은 모두 카메라빨이라 이전과는 다르게
사진 솜씨라는 것이 실력의 의미가 많이 퇴색이 되어 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디카와 니콘DSLR이 한대 있고 요즘 나온 최신형 올림푸스 하이브리드가 한대 있습니다.
모두 딸애한테 니끼내끼고.. 내끼내끼다.며
갈취하여 가지고 있는 것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