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름한 담벼락에 망치와 조각도를 가지고 스크래치하여 그림을 완성하는 별난 아티스트가 있습니다. |
'글과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의 화가'인 토마스 킨케이드(Thomas Kinkade)의 동화속 풍경 같은 그림들 (10) | 2011.06.18 |
---|---|
이모를 경배하라 - 이영혜 (8) | 2011.05.31 |
러시아의 대표 사진작가 12명이 찍은 지구촌의 아름다운 풍경 전시회 (12) | 2011.05.28 |
중국 풍경을 보여주는 조감도 같은 아름다운 그림들 (24) | 2011.05.26 |
나이젤 콕스(Nigel Cox)의 리넨 캔버스에 그린 맑은 느낌의 구상화 (10) | 2011.05.24 |
담벼락에 조각을 하여 초상화를 그리는 별난 조각가 빌스(Vhils) (16) | 2011.05.19 |
인도네시아 시골 사람들의 일상적인 모습을 담은 Dewan Irawan의 아름다운 사진들 (16) | 2011.05.11 |
중국화가 lu jian jun(吕建军)이 그린 청나라 옷차림의 여인들 (15) | 2011.04.27 |
춘신(春信) - 유치환 (24) | 2011.03.19 |
공상 과학 영화를 보는 듯.. 알렉스 안드레예프(Alex Andreyev)의 멋진 디지털 아트 작품 (0) | 2011.02.16 |
허성도 서울대 교수의 '우리 역사 바로 보기' 강연 녹취록 (0) | 2011.02.12 |
담벼락에 그림을 그린다는 개념을 넘어서서 조각을 한다는것이 신선하네요^^ 멋집니다~ㅎ
고맙습니다.. 박민령님.
성함이 너무 멋지다는 생각이 듭니다.
허름하고 보잘것 없는 뒷골목의 벽면에 저런 작품을 만들어 두면 얼마나 신선하고 좋을까요..^^
두가님 덕분에 지난번 Fashion Faces Art 에 이어 Graffiti 라는 또 다른 예술의 장르를 알게 된것같습니다.
대단 합니다. 옛날 같으면 "그렇게도 밥 먹고 할일이 없냐?"라는 소리 들을만 하기도 하고요.
예. 에디님.. 정말 이전 같으면 밥 쳐XX 그리 할 일이 없냐? 고 꾸중 들을 일입니다.
아직까지는 세월이 아이들 공부에 치중되지만 이제 조금만 더 세월이 흐르면 공부보다는 아이의 개성에 치중되는 교육이 우선하는 시대가 오리라 여겨 집니다.
그때쯤 되면 꿈을 키워 나가는 아이들이 많아 지겠지요..ㅎㅎ
두가님..헐레벌떡 달려왔습니다. 또 나가봐야 한답니다..ㅎ
그래도 벽에 그린 그림 일일이 다 챙겨보고 갑니데이..근디..저거 방수 안되면 누가 책임져야 하나요??..ㅎㅎㅎ
정말 바쁘신 것 같습니다. 피어나라님..ㅎ
그림이 아니고 조각입니데이.
저 두 친구를 불러다 부산 40 계단 위 쪽 동내의 벼릉빡에다 조각을 시켜 놓으면 부산 관광객이
대박이 날 것 같은 생각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 뿐 아니라 일본 관광객도 저기를 보러 엄청나게 몰리고요.
통영 동피랑 마을의 그림과는 차원이 다르다고 통영에 갈 사람들이 부산으로 간다고 법석을 떨것 같습니다....ㅎㅎ
부산 달동네를 배타고 나가면서 봤는데 정말 멋지다는(?) 생각을 해 봤습니다.
형님 말씀대로 그런 동네를 예술적으로 만들어 두면 기가 막힌 작품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근데 40계단 위의 동네가 어딘지요?
그런 곳 구경도 요즘은 여행이 되는 시대가 된것 같습니다..^^
글쎄요 동내 이름이 동광동인가 그 쪽 어데에서 오르는 길로 만 알고 있는데 확실히는 모르고요..
하여튼 부산 연안부두 와 국제선 훼리 부두가 바로 아래 가까운 곳 입니다.
군 에 있을 때 그 쪽 부두에 늘 입항을 하는 덕에....
스카이 뷰를 보니 바로 부산항 옆이고 산만디(?)에서 시작되는 동네인것 같습니다.
야간에 바다에서 보면 아파트 처럼 보일 동네일것 같습니다.
서민 달동네의 고달픈 동네이지만 어쩌면 또 행복이 가득한 곳이 아닐까 생각되어 집니다..^^
우와~~ 벽그림치고는아니 조각이군요... 예술성이 대단합니다...
누구든 한번보면 잊혀지지않는 건물이 될것 같습니다.
캔스프레이 그래피티도 멋지지만 정성이 더욱들어간 조각그래피티에 점수를 더주고 싶네요.
동피랑 마을의 벽그림도 그렇고....예술은 그리 멀지않은곳에 있습니다.^^*
예, 하마님.
늘 생각하지만 아름다움을 바로 곁에 있는 것이 많다고 느껴 집니다.
오래전 새마을 하기 전의 시골동네 한군데쯤 그대로 보존하고 있었더라면 지금쯤 분명 유네스코문화유산으로 지정이 되었을 것입니다.
지금도 강원도 첩첩 산골이 있다면 제발 그대로 잘 보존하여 두는 것이 나중에 진짜배기 관광지가 될것이라 생각됩니다..^^
저는 저 작품이 아까워서
건물이나 담 벼락 고쳐야 할일이 생기면 어쩌나 그거이 쪼매 걱정됩니다.ㅎㅎ
담벼략채로 떼다가 전시관에 옯겨야 할것 같습니다.
누군가 우리집 담벼락에 저렇게 하여 준다면 좀 시끄러워도 참고 견디겠지요..ㅎ
동피랑마을 담벼락 그림이나 흔히 거리에서 만나는 그림 정도가 아니고 그림뿐만 아니라 조각에서도
젊은청년이 천재적인 재능을 발휘 했습니다.
저도 밤중에 살짜기 나가서 남의 담벼락에 오바마 얼굴이나 낙서와 같은 것을그려 작품으로 인정
빋을까하나 사다리차도 불러야하고 운이나빠 집주인한테 들키는날에는 코피 날까봐 포기하겠습니다.
이런 작품들을 보면서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획일적인 교욱제도를 생각케 합니다.
이 청년은 나이도 많지 않은데 이 정도의 실력으로 개성을 살린 것을 보면 분명 어릴때부터 나름대로의 적성을 개발한듯 합니다.
우리나라 어린이들도 그 소질을 일찍 살리면 세계적으로 유명한 여러분야의 인물들이 많이 나올 것인데 참 안타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