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과 그림

숙종대왕(肅宗大王)의 묏자리[明陵]를 잡아 준 조선제일의 풍수 갈처사(葛處士)

반응형



갈處士와 肅宗大王(明陵)


朝鮮의 제19代 임금 肅宗大王은 民政視察을 자주 하였다.
어느날 肅宗大王이 水原城 고개 아랫쪽 냇가(지금 水原川 附近)를 지날 무렵 허름한 시골 總角이 棺 하나를 옆에 놔두고 슬피 울면서 땅을 파고 있는게 아닌가.

喪을 當해 墓를 쓰는 것은 흔한 일이지만 파는 족족 물이 스며 나오는 냇가에 墓자리를 파고 있는 더벅머리 總角의 悽涼한 모습에 "아무리 가난하고 땅이 없어도 有分數지 어찌 송장을 물속에 넣으려고 하는지 稀罕도 하다" 그래도 무슨 事緣이 있겠지 하며 다가갔다.

"여보게 總角, 여기 이棺은 누구 것인고?"
"제 어머님 屍身을 모실 棺입니다"

"여기는 왜 파고 있는고?"
(짐짓 알면서 딴청으로 묻는다)
"墓를 쓰려고 합니다."

斟酌은 했지만 어처구니가 없는 肅宗이다.

"여보게, 이렇게 물이 솟아나고 있는데 어찌 어머니 墓를 쓰려고 하는가?"
"저도 영문을 모르겠습니다. 오늘 아침에 어머니께서 갑자기 돌아가셨는데, 갈處士라는 老人이 찾아와 절더러 불쌍타 하면서 이리로 데려와 이 자리에 墓를 꼭 쓰라고 일러 주었습니다. 그 분은 有名한 地官인데, 저기 저 언덕 오막살이에서 혼자 살고 있습니다."

總角은 옷소매로 연신 눈물을 훔치며 自身의 困惑스런 處地를 처음 보는 兩班나리에게 하소연하듯 아뢰었다.
肅宗이 가만히 듣자하니 갈處士라는 地官이 괘씸하기 짝이 없었다.
窮理 끝에 지니고 다니던 紙筆墨을 꺼내어 몇 字 적었다.

"여기 일은 내가 보고 있을 터이니 이 書札을 水原府로 가져가게. 守門將이 城門을 가로 막거든 이 書札을 보여주게."

總角은 또 한 번 唐慌했다. 아침에는 어머님이 돌아가셨지. 有名한 地官이 냇가에 墓를 쓰라고 했지. 이번에는 왠 선비가 갑자기 나타나 水原府에 書札을 傳하라 하지. 도무지 어느 長短에 발을 맞추어야 할지 모를 地境이었다.
어쩔까 망설이다가 結局 急한 발걸음으로 水原府로 가게 되었다.

書札에 적힌 內容은 다음과 같았다.

"御命! 水原府使는 이 사람에게 當場 쌀 三百 가마를 下賜하고, 좋은 터를 定해서 墓를 쓸 수 있도록 急히 措置하라.

水原府가 갑자기 발칵 뒤집혔다.
허름한 시골 總角에게 有名한 地官이 同行되지 않나, 
倉庫의 쌀이 쏟아져 바리바리 실리지를 않나.

"아! 上監媽媽, 그 분이 上監媽媽였다니!"

總角은 하늘이 노래졌다. 다리가 사시나무 떨리듯 떨렸다.
냇가에서 自己 어머니 屍身을 지키고 서 있을 임금을 생각하니, 惶悚하옵기가 말할 수 없었다.
기쁨보다는 두려움과 놀라움에 몸 둘 바를 몰랐다.

한편 肅宗은 總角이 水原府로 떠난 뒤 단단히 혼을 내 주려고 總角이 가르쳐 준 갈處士가 산다는 가파른 산마루를 향해 올라갔다.
산마루에는 다 찌그러져가는 단칸 草幕이 있었다.

"이리 오너라"
"..............."
"이리 오너라"
".............."

한참 뒤 안에서 말소리가 들려왔다.

"게 뉘시오?"

房門을 열며 시큰둥하게 손님을 맞는 主人은 零落없는 꼬질꼬질한 촌 老人네 行色이다.
콧구멍만한 초라한 房이라 들어갈 자리도 없다.
肅宗은 그대로 門밖에서 묻는다.

"나는 漢陽 사는 선비인데 그대가 갈處士 맞소?"
"그렇소만 무슨 緣由로 예까지 나를 찾소?"
"오늘 아침 저 아래 喪 當한 總角더러 냇가에 墓를 쓰라했소?"
"그렇소"

"듣자니 당신이 자리를 좀 본다는데 물이 펑펑 솟아나는 냇가에 墓를 쓰라니 當치나 한 일이요?
골탕을 먹이는 것도 有分數지 어찌 그럴 수가 있단 말이요? "

肅宗의 참았던 感情에 어느새 激해저 목소리가 커졌다. 갈씨 또한 村老이지만 낮선 손님이 찾아와 다짜고짜 목소리를 높이니 마음이 便치 않았다.

"선비란 兩班이 개 코도 모르면서 參見이야. 당신이 그 땅이 얼마나 좋은 名堂터인 줄 알기나 해?"

버럭 소리를 지르는 통에 肅宗은 氣가 막혔다.
(속으로 이놈이 감히 어느 眼前이라고, 어디 暫時 두고 보자 하고 感情을 억 누르며)

"저기가 어떻게 名堂이란 말이요?"
"모르면 가만이나 있지, 이 兩班아! 저기는 屍體가 들어가기도 전에 쌀 三百 가마를 받고 名堂으로 들어가는 땅이야. 屍體가 들어가기도 前에 發福을 받는 자리인데, 물이 있으면 어떻고 불이 있으면 어때? 개코도 모르면 잠자코나 있으시오"

肅宗의 얼굴은 그만 새파랗게 질려버렸다.
갈處士 말대로 屍體가 들어가기도 前에 總角은 쌀 三百 가마를 받았으며 名堂으로 옮겨 葬事를 지낼 狀況이 아닌가!
肅宗은 갈處士의 大喝一聲에 얼마나 놀랬던지 自身도 모르게 목소리가 恭遜해 진다.

"令監님이 그렇게 잘 알면 저 아래 고래등 같은 집에서 떵떵거리고 살지 않고 이런 산마루 오두幕에서 산단 말이오?"
"이 兩班이 아무것도 모르면 가만있을 것이지 귀찮게 떠들기만 하네"
"아니, 무슨 말씀인지......"

肅宗은 이제 주눅이 들어 있었다.

"저 아래 것들은 남 속이고 도둑질이나 해 가지고 고래등 같은 기와집 가져봐야 아무 所用이 없어. 그래도 여기는 바로 임금이 찾아올 자리여. 지금 비록 초라하지만 나랏님이 찾아올 名堂이란 말일세"

肅宗은 그만 精神을 잃을 뻔 했다.
이런 神通한 사람을 일찍이 만나본 적이 없었다.
꿈속을 해메고 있는 것 같았다

"그렇다면 王이 언제 찾아옵니까?"
"거, 꽤나 귀찮게 물어 오시네. 暫時 기다려 보오. 내가 再昨年에 이 집을 지을 때에 날 받아놓은 것이 있는데, 가만.... 어디에 있더라"

하면서 방 귀퉁이 보자기를 풀어서 종이 한 張을 꺼내어 먼지를 털면서 들여다보더니......
그만 大驚失色을 한다.
그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밖에 나가 큰 절을 올리는 것이었다.
종이에 적힌 時間이 바로 지금 이 時間이었다.
임금을 알아본 것이다.

"여보게.... 갈處士, 괜찮소이다. 代身 그 누구에게도 결코 말하지 마시오. 그리고 내가 죽은 뒤에 뭍힐 자리 하나 잡아주지 않겠오"
"大王님의 德이 높으신데 제가 臣下로서 자리 잡아 드리는 것은 無限한 榮光이옵니다. 어느 분의 下命이신데 拒逆하겠사옵니까?"

그리하여 갈處士가 잡아준 肅宗의 王陵이 지금 서울의 서북쪽의 西五陵에 자리한 "明陵"이다.
그 후 肅宗大王은 갈處士에게 三千兩을 下賜하였으나, 路資로 三十兩만 받아들고 忽然히 어디론가 떠나갔다는 이야기입니다.


2011년 프랑스에서 되찾아 온 외규장각 의궤 '숙종국장도감의궤(肅宗國葬都監儀軌)' 中 숙종 임금의 관을 장지로 옮기는 장례 행렬을 그린 반차도(班次圖).
왕의 관을 실은 대여 뒤로 곡(哭)을 하는 궁인들이 흰 장막을 두른 채 따라 가는 부분입니다.
반응형


Calendar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Recent Comments
Visits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