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익 자료 약간 재미

24절기에 대하여..

반응형

24절기란? 

 

입춘이나 동지, 경칩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24절기’라는 낱말도 무척이나 익숙하다. 그러나 24절기가 정확하게 무엇인지, 그 순서가 어떻게 되는지 아는 사람은 드물다.

24절기란 태양이 지구를 도는 시간을 상정하고, 15도씩 옮겨갈 때마다 절기 한 개씩을 넣은 것을 말한다. (시간을 산정하기 위해 개발한 ‘개념’인 것이지, 물리적으로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돈다는 옛날 학설과 관계있는 것은 아니다)
지구를 중심으로 그려진 원의 아래와 위에 동지와 하지를 그려 넣고, 왼쪽에는 춘분, 오른쪽에는 추분을 표시한다.

동지란 (북반구에서) 태양이 가장 낮게 뜨는 날이다. 즉, 일 년 가운데 정오에 해의 그림자가 가장 긴 날이며, 그것은 일 년 가운데 밤이 가장 긴 날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따라서 동지가 지나면 차츰 날씨가 풀리고 그림자 길이는 짧아지면서 밤의 길이도 짧아지게 된다. 춘분에 이르면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고, 그 다음날부터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한다.

둥글게 그린 태양의 길, 즉 황도를 시계바늘 도는 방향을 따라가면, 제일 위쪽이 하지가 되고 90도씩 돌아가며 추분, 동지, 춘분이 된다는 것은 위에서 설명했다. 이렇게 점 네 개를 만든 다음 이들 네 점의 가운데에 점을 찍고, 각 지점마다 `입(立)`이라 써둔다. 시계바늘이 도는 방향의 순서대로 이 네 점이 각각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이 되는 것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 네 계절의 문턱이 바로 이들이고, 24절기에서 그들의 자리는 바로 동지, 추분, 하지, 추분의 중간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24절기 가운데 8절기는 아주 쉽게 생성해 보았다.

24개의 절기 중 8개를 만들었으니, 16개가 남았다. 8개의 점 사이에 2개씩의 점을 찍어 채우면 되는 것이다. 이미 알고 있는 절기 이름이 이들 가운데 어디에 들어가는 게 적당할까를 궁리해 보면 24절기가 모두 머릿속에 들어올 것이다.

우선 소한(小寒), 대한(大寒)을 모를 사람은 없을 것이다.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옛말도 있으니 대게 소한 때가 한 해 가운데 가장 추운 때다. 그렇다면 원 안에 소한과 대한을 표시할 자리는 겨울인 동지와 입춘 사이가 될 것이 뻔하다.
추위를 논했으니 그 반대인 더위가 남았다. 소서(小暑)와 대서(大暑)다. 당연하게도 이들은 소한과 대한의 반대 위치에 있다. 이쯤 되면 소설(小雪), 대설(大雪)이 들어갈 위치도 뻔해진다. 눈이 오는 때는 겨울이다. 우수(雨水)와 경칩(驚蟄)도 마찬가지다. `우수, 경칩이면 대동강 물도 풀린다.`고 했으니 우수, 경칩의 자리는 봄 언저리다. 이제 애매한 것들만 남았다. 청명(淸明)과 곡우(穀雨), 소만(小滿)과 망종(亡種), 처서(處暑)와 백로(白露), 한로(寒露)와 상강(霜降)이다. 이것도 이들을 둘씩 묶어 차례대로 알고 있다면, 그 뜻을 보아 어느 자리에 속할지 금방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24절기의 도입

 

달력은 시간을 계산하고 표준화하여 생활과 생산(특히 농경)에 이용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것이다. 또한 더워졌다가 선선해졌다가 추워졌다가 따뜻해졌다가 다시 더워지기를 반복하는 기후변화에 뭔가 일정한 법칙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인간의 자연스러운 과학적 호기심도 작용을 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음력 또한 자연스럽다. 태양은 언제 봐도 동그란 모양이지만, 달은 찼다 기우는 모양이 워낙 눈에 띄고 하루하루 그 변화가 역동적이다. 조상들은 그 변화가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았을 것이고, 자연스럽게 달을 일종의 시계로 이용했을 것이다. 그것을 기록해 둔 것이 달력, 즉 음력이 된 것이다.

24절기는 본질적으로 음력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므로, 음력의 발생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음력의 역사에 대해 조금만 더 알아보자.

음력은 원래 중국 주(周)나라 때 화북지방에서 제작됐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달력은 달의 운동을 기준으로 하여 태양의 운동이 반영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계절변화는 태양의 운동에 의한 것이므로, 음력 날짜와 계절의 변화가 잘 일치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음력에다 계절의 변화를 알려주는 장치를 도입할 필요가 있었다. 이것이 바로 24절기다.이런 달력을 태음태양력(太陰太陽曆)이라 한다. '陰'은 '달'을 뜻하고 '陽'은 태양을 뜻하므로, 달과 태양의 운동을 모두 고려하는 역법이란 뜻이다. 우리가 '음력'이라고 부르는 시간의 표준은 바로 태음태양력을 말한다. 그러므로 24절기는 처음부터 음력과 함께 도입이 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 백제가 중국에서 들여온 송(宋)나라의 원가력(元嘉曆)을 사용했던 기록이 남아 있다. 그 후 조선 세종대왕 시기에 일종의 태음력인 칠정산 내편(七政算內篇)과 외편(外篇)의 역법을 만들었다. 이때 비로소 중국식과 차이가 있는 우리식 절기 제작에 대한 노력이 처음으로 보이게 된다.

 

<설명글 출저 : 문화콘텐츠닷컴 http://www.culturecontent.com/main.do>

 

 

 

 

 

 

입춘은 대한과 우수 사이에 있는 음력 정월 절기로 양력으로는 2월 4일경이다.

입춘 전날은 절분으로 불리며 철의 마지막이라는 의미로 '해넘이'라고도 불리면서 이날밤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 마귀를 쫓고 새해를 맞이한다.


특히 입춘날에는 "입춘대길" 등의 입춘방을 문에 붙이고, 입춘절식이라 해서 고유의 절기 때 먹는 음식인 절식으로 입춘날에 먹는 햇나물 무침이 있다.

입춘 기간에는 동풍이 불어 언 땅이 녹고, 동면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며, 어류가  얼음 밑을 다닌다고 한다.

 

 

 

 

 

우수는 입춘과 경칩 사이에 있는 음력 정월 중기로 양력으로는 2월 19일경이다.

봄을 알리는 단비가 내려 대지를 적시고 겨우내 얼었던 대지가 녹아 물이 많아진다는 의미로 우수라고 한다. 

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 라는 옛말이 전해온다.

 

 

 

 

 

경칩은 우수와 춘분 사이에 있는 음력 2월 절기로 양력으로는 3월 6일경이다.

이 무렵은 날씨가 따뜻해져 초목의 싹이 돋고  동면하던 동물이 깨어 꿈틀 대기 시작한다는 의미에서 명칭이 정해졌다.

이 때의 풍속에는 개구리 정충이 몸을 보(保)한다고 해서 개구리 알을 잡아먹고, 흙 일을 하면 탈이 없다 해서 담을 쌓거나 벽을 바르는 일을 하고, 이 날 보리 싹의 성장상태로 보리 농사의 풍흉을 점쳤다고 한다.

 

 

 

 

 

춘분은  경칩과  청명 사이에 있는 음력 2월 중기로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며양력으로는 3월 21일경이다.

춘분 기간에는 제비가 날아오고, 우레소리가 들리며, 그 해 처음으로 번개가 친다고 한다.

 

 

 

 

 

청명은 춘분과 곡우 사이에 있는 음력 3월 절기로 양력으로는 4월 5일경이다.

날씨를 이야기할 때 '청명하다'는 말을 사용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맑고 깨끗한 기후의 시기다.

보통 중국 제나라의 개자추라는 인물에서 유래된 한식날이 이 날을 전후해서 있어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 라는 속담도 있다.

 

 

 

 

곡우는 청명과 입하 사이에 있는 음력 3월 중기로 양력으로는 4월 20일 경이다.

의미는 봄비가 내려 백곡이 윤택 해진다는 것이고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마련하고 한 해 농사의 준비가 시작된다.

 

 

 

 

 

입하는 곡우와 소만 사이에 있는 음력 4월 절기로 양력으로는 5월 6일경이다.

곡우 후 15일이다.  여름에 들어 섰다고 하여 입하라 한다. 

옛날 중국에서는 입하 15일간을 5일씩 3후로 세분하여,

 ① 청개구리가 울고,

 ② 지렁이가 땅에서 나오며,

 ③ 왕과(王瓜:쥐참외)가 나온다고 하였다. 

음력에서는 보통 4, 5, 6월의 석달을 여름이라고 하지만  이것은 너무 엉성한 구분이고, 엄격히 입하 이후 입추 전날까지를 여름이라고 규정 짓는다.

 

 

 

 

 

소만은 입하와 망종 사이에 있는 음력 4월 중기로 양력으로는 5월 21일경이다. 

의미는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찬다는 뜻으로 날씨가 여름에 들어서 모내기가 시작되고 보리 수확을 하기 시작한다.

소만 기간에는 씀바귀가 뻗어 나오고,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보리가 익는다고 한다.

 

 

 

 

 

망종은 소만과 하지 사이에 있는 음력 5월 절기로 양력으로는 6월 6일경이다.

의미는 까끄라기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이고 모내기나 보리 베기가 완성되는 시기다.

망종 기간에는 까마귀가 나타나고,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지빠귀가 울음을 멈춘다고 한다.

 


 

 

 

하지는 망종과 소서사이에 있는 음력 5월 중기로 양력으로는 6월 22일경이다. 

이 날은 낮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긴 날이 되는데, 이는 지구 표면이 받는 열량이 가장 많아진다는  것으로 이 열량이 계속 쌓여 하지 이후에 더욱 더워져 삼복 시기에 가장 덥게 된다.

 

 

 

 

 

소서는 하지와 대서 사이에 있는 음력 6월 절기로 양력으로는 7월 7일경이다.

날씨는 더위와 함께 장마전선의 정체로 습도가 높아 장마철이 시작된다.

 

 

 

 

대서는 소서와 입추 사이에 있는 음력 6월 중기로 양력으로는 7월 23일경이다. 

대개 중복 시기와 비슷해서 폭염의 더위가 심한 시기이면서도 장마로 인해 많은 비를 내리기도 한다.

 

 

 

 

 

입추는 대서와 처서 사이에 있는 음력 7월 절기로 양력으로는 8월 8일경이다.

입추 기간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고, 이슬이 진하게 내리며, 귀뚜라미가 운다.

 

 

 

 

처서는 입추와 백로 사이에 있는 음력 7월 중기로 양력으로는 8월 23일경이다. 

의미는 더위가 물러간다는 뜻이다.

처서 기간에는 매가 새를 잡아 늘어 놓고, 천지가 쓸쓸해지며, 논 벼가 익는다고 한다.

 

 

 

 

 

백로는 처서와 추분 사이에 있는 음력 8월 절기로  양으로는 9월 8일경이다. 

이 시기에는 밤에 기온이 내려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엉겨 이슬이 되어 풀잎에 맺힌다. 

백로 기간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제비가 돌아가며, 뭇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

 

 

 

 

 

추분은 백로와 한로 사이에 있는 음력 8월 중기로 춘분과 함께 밤낮의 길이가 같고 

양력으로는 9월 23일경이다.

이 시기는 추수기가 시작되고 백곡이 풍성한 때이다.

추분 기간에는 우레 소리가 그치고, 동면할 벌레가 구멍 창을 막고, 땅 위의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고 한다.

 

 

 

 

 

한로는 추분과 상강 사이에 있는 음력 9월 절기로 양력으로는 10월 9일경이다.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가 되며, 단풍이 짙어지고 여름새와 겨울새의 교체 시기에 해당하며  오곡백과를 수확한다.

한로 기간에는 기러기가 모여들고, 참새가 줄어들고 조개가 나돌며, 국화꽃이 노랗게 피어난다고 한다.

 

 

 

 

상강은 한로와 입동 사이에 있는 음력 9월 중기로 태양이 양력으로는 10월 24일경이다.

이 시기에는 맑은 날씨가 계속되며 밤에는 기온이 매우 낮아져 수증기가 지표에 엉겨 서리가 내린다.

상강 기간에는 승냥이가 산짐승을 잡고, 초목이 누렇게 변하고, 동면하는 벌레가 모두 땅 속으로 숨는다고 한다.

 

 

 

 

 

입동은 상강과 소설 사이에 있는 음력 10월 절기로 양력으로는 11월 8일경이다.

입동 기간에는 물이 비로소 얼고, 땅이 처음 얼며, 꿩은 드물고 조개가 잡힌다고 한다.

 

 

 

 

 

소설은 입동과  대설 사이에 있는 음력 10월 중절로 양력으로는 11월 23일경이다.

이 시기는 첫 겨울의 증후가 보여 눈이 내린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대설은 소설과 동지 사이에 있는 음력 11월 절기로 양력으로는 12월 7일경이다.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라는 의미이지만 실제 추위의 계절은 동지를 지나서부터이다.

 

 

 

 

 

동지는 대설과 소한 사이에 있는 음력 11월 중기로 양력으로는 12월 22일경이다. 

동지는 24절기 중에 직접적인 풍습이 가장 많이 있는 기간이다. 

민간에서도 동지절식을 먹었는데, 붉은 팥으로 죽을 쑤어 그 속에 찹쌀로 옹시미 또는 새알심이라는 단자를 만들어 넣어 먹고 또 역귀 쫓는다는 의미로 팥죽 국물을 벽이나 문에 뿌렸다.

 

 

 

 

소한은 동지와  대한 사이에 있는 음력 12월 절기로 양력으로는 1월 6일경이다.

대한이 더 춥다는 의미이지만 우리나라는 소한 때가 더 추워 "대한이 소한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옛말이 생겨났다.

 

 

 

 

대한은 소한과 입춘 사이에 있는 음력 12월 중기로  양력으로는 1월 21일경이다. 

겨울 추위의 매듭을 짓는다는 의미의 대한이지만 실제는 소한 때가 더 춥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