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야산 산행 일기 2019. 9. 9. 마귀할미통시바위가 있는 문경 둔덕산 퀴즈 : 제목에 등장하는 '통시'라는 말은 무엇일까요? 힌트 : 보리문댕이 경상도 사람이 맞힐 확률 : 100%, 깍쟁이 서울 토박이가 맞힐 확률 1%. 뒷간. (칙간, 변소라고 해도 정답으로 치지만 화장실로 표현하면 오답.) ※ 통시라는 말은 옛 똥돼지가 있는 뒷간을 말하는데 돼지우리 위에 널판지를 걸치고 그곳에서 볼일을 보면 아래에 있는 돼지가 즉석요리를 낼름 먹어 치우는 자연친화적 변소인데 뭘 잘못 먹어 설사라도 날 경우 아랫쪽 돼지 기분따라 지 몸에 묻은 액체를 부르르 털게 되는데 이때는 잽싸게 피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튀김이 위로 솟구쳐 난감한 일이 생기는 경우도 있구요. 암튼 이게 세월 지나면서 사람들의 거부 반응으로 지금은 거의 사라졌지만 그래도 다들 똥돼지 고기를 최고로 치는 경향이 있습니다.. 산행 일기 2018. 12. 25. 겨울 용추계곡도 아름다운 대야산 산행 지구별 가족분들과 지구별에 오시는 모든 분들.. 메리 크리스마스..^^ 문경 대야산에 성탄 산행을 다녀 왔습니다.날씨는 맑지 않지만 다행히 그리 춥지 않고 미세먼지가 없어 조망은 트이는 반 정도는 만족한 호젓한 산행이었습니다. 친구들이나 아는 이들한테 크리스마스 성탄 인사를 많이 받게 되는데...수녀님께서 이런 인사를 보내 왔습니다."성탄을 축하 드립니다."해마다 받는 인사인데 올들어 뜬금없이 되생각해 보니 '성탄을 축하한다.'는 말이 뭔 말인지 헷갈립니다.알듯 모를듯한 이 말을 지구별에 오시는 성탄 가족분들께서 해석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대야산은 여러번 올라갔던 곳인데 제 블로그에 대야산에 관한 산행기가 하나도 없어 밀린 숙제한다고 생각하고 카메라 들고 다녀 왔습니다. 희양산을 지나 속리산으로 향하는.. 산행 일기 2012. 7. 24. 신선이 그린 동양화... 중대봉 ~ 대야산 ~ 용추계곡 중대봉(846m)과 대야산(931m)은 충북 괴산과 경북 문경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지역입니다. 이 구간의 산행은 주로 괴산군 청천면 삼송리에 있는 농바위마을(이곳에서는 농바우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에서 시작하여 중대봉과 대야산을 거쳐 하산으로는 피아골 계곡과 용추계곡의 기나긴 코스를 내려와 문경의 별바위마을에서 마무리 하게 됩니다. 이와 반대로 할 수도 있으나 용추계곡의 시원한 풍경으로 마무리 하는 것이 낫기 때문에 거의 이렇게 움직입니다. 중대봉은 정상 바로 전에 대슬랩구간이 있어 세미클라이밍을 즐길수 있으나 노약자는 조금 위험한 구간이기도 합니다. 이 구간을 피할려면 농바위마을에서 약 30여분 오르면 왼편으로 조금 안전한 코스가 있습니다. 이 구간으로는 출입금지라고 쓰여져 있는데 이유는 모르겠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