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군 옥포면 반송리에서 계곡을 따라 차량으로 약 20여분 오르면 용연사란 사찰이 나타납니다.
그리 크지 않는 절이지만 이곳에는 1971년 7월 7일 보물 제 539호로 지정된 금강계단(金剛戒壇)이 있는 곳입니다. 본절에서 계곡에 놓인 극락교를 건너 맞은편 언덕으로 100여m만 가면 나타나는 금강계단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곳으로서 우리나라 8곳의 적멸보궁 중 하나에 속하는 곳입니다. 영남지방에서는 꽤 알아주는, 영험빨이 강한 기도처이기도 한 곳입니다.
8대 적멸보궁이라 함은 경남 양산 통도사(通度寺), 강원도 설악산 봉정암(鳳程庵), 강원도 오대산 상원사(上院寺), 강원도 영월 사자산 법흥사(法興寺) 강원도 태백산 정암사(淨岩寺), 강원 고성 금강산 건봉사(乾鳳寺), 경북 구미 태조산 도리사(桃李寺), 그리고 이곳 달성의 용연사(龍淵寺)입니다.
이곳 외에도 비공식적으로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곳이 몇 곳 더 있는데 주로 주지스님들이 외국여행에서 모셔온 것이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연화도에 있는 연화사나 일전에 한번 가본 밀양 무안의 영취산 기슭에 있는 영산정사(靈山精舍)에도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습니다.(포스트 보기 : 이곳)
'사리'라는 말은 범어[고대 인도어]의 사리라(Sarira)를 소리나는 대로 한자[舍利]로 옮겨 적은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고승들의 다비[火葬] 후 나오는 구슬모양의 유골을 의미합니다. 부처님의 사리라 함은 부처의 유골을 뜻하는 진신사리와 부처의 가르침과 정신이 깃든 불경을 이르는 법신사리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사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곳 참고).
이곳 용연사에 모셔진 진신사리는 원래 통도사에 있던 것인데 임진왜란때 왜놈들의 침략으로 통도사의 사리탑이 훼손되자 이곳에 있던 사리가 우여곡절끝에 분산 안치된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본문에서 사진과 함께 상세히 소개하여 드리겠습니다.
금강계단이 있는 용연사의 위치입니다. 위 지도에는 차도가 나타나 있지 않는데 절 앞까지 승용차로 쉽게 접근이 가능합니다. |
용연사 일주문(一柱門)인 자운문(慈雲門)입니다. 정면 방향이 아니고 뒷편에서 본 모습입니다. |
이 일주문은 창건연대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
적멸보궁으로 가려면 극락전이 있는 본절의 반대편 돌계단을 올라서 조금만 가면 됩니다.
금강계단(金剛戒壇)으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같은 이름이 붙은 누각이 있습니다. 외부에서 보면 2층 구조로 보이나 내부는 단층으로 되어 있습니다.
입구에 들어서면 사천왕상이 양면에 그려져 있습니다. 본절과 이곳 모두 상(像)으로 되어 있지않고 그림으로 되어 있네요.
절에 들어오는 잡귀를 막아내며 절에 들어와 있는 불법(佛法)과 불자를 수호하는 역활을 합니다.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
누각에서 적멸보궁으로 오르는 길엔 다시 돌계단이 있습니다.
부처님을 만나는 일은 늘 이렇게 여러곳의 계단을 오르면서 자기수행의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금강계단 앞에 있는 적멸보궁입니다. |
적멸보궁(寂滅寶宮)의 의미를 불교용어사전에서 인용하면, |
즉, 적멸보궁(寂滅寶宮)은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모신 금강계단을 일반 불상보다 상위의 귀의처로 삼기 때문에 통상 불상을 모셔둔 대웅전보다 더 신성한 장소가 되는 것입니다.
적멸보궁 뒷편에 있는 보물 539호 금강계단(金剛戒壇)입니다. 석조계단(石造戒壇)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
석등안에 부처님이 계시네요.
금강계단 우측으로는 커다란 비석이 2기 있습니다. |
금강계단을 참배하려면 적멸보궁으로 들어가면 됩니다. 몇분이 와 계시네요.
적멸보궁 법당은 당연히 불상이 모셔져 있지 않고 뒤쪽 벽을 유리로 하여 사리탑을 바라보면서 참배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저도 들어가서 부처님 계신 계단을 향해 삼배인사를 올렸습니다.
발소리 내기도 두려운 적막감이 조용한 사찰에 가득하네요.
날씨가 추워서인지 스님들은 요사채 안에 가만히 계십니다.
담 너머로 견(犬)보살님의 배웅을 받으며 되돌아 나옵니다.
아직은 삭막한 풍경이지만 곧 봄이 오겠지요?
'여행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양매화축제 - 3월 말쯤 되어야 만개할 듯.. (17) | 2012.03.20 |
---|---|
마이산 탑사에는 능소화로 만든 하트가 있다? (17) | 2012.03.14 |
화원 장날, 시장바닥에서 만난 정겨운 가격표 (16) | 2012.02.28 |
'빛과 그림자' 촬영지인 합천영상테마파크에 가면.. (17) | 2012.02.21 |
디테일의 묘미, 도동서원을 찾아서 (16) | 2012.02.21 |
보물 제539호, 달성 용연사의 금강계단(龍淵寺 金剛戒壇) (22) | 2012.02.11 |
달성문화센터에서 전시되고 있는 '100년의 용솟음展' (8) | 2012.01.27 |
사육신의 위패를 모신 육신사(六臣祠)와 달성 삼가헌(三可軒) (10) | 2012.01.13 |
타임머신을 타고 조선시대로 - 낙안읍성 여행 (16) | 2011.12.15 |
미스터리로 가득한 천불천탑의 운주사를 찾아가다. (10) | 2011.12.12 |
나라에 큰 일이 생기면 땀을 흘리는 비석이 있다? - 밀양 무안 여행 (33) | 2011.11.28 |
두타산가는 버스안입니다 ㅋㅋ
이젠 역사공부가 재미있습니다
가는 동안 열씸히 공부 하겠습니다
뻐스가 흘들려서 ᆢ
이만 총총 ^@^
아, Daaci님 두타산에 가시는군요.
이 계절과는 잘 어울리지 않는 산이지만
그래도 오늘 날씨가 좋아 추위는 덜 하시것 같습니다.
이제 다리는 완전히 나으셨나 봅니다.
안전 유의 하시고
잘 다녀 오시길 바랍니다..^^
저도 스스로 불자라 생각하였는데 포스팅을 읽어내려오며 많이 부족함을 느낍니다.^^;;
그저 절에가서 부처님께 삼배하고 마음이 홀가분함을 느끼는게 대부분이었습니다.
진신사리가 모셔진 호국불교의 성지였던 역사와 전통의 달성 용연사..... 한번 가고픈 절입니다.^^
즐거운 주말과 휴일되세요~~
절에가면 아늑함을 느끼게 됩니다.
그게 좋아서 자주 찾는듯 하구요.
전 특별한 불자는 아니지만 간혹 절밥 얻어 먹으러 한번씩
가는 정도입니다.
우리나라는 어느 골짜기 어느 산에가도
절이 있다는 것이 위안입니다.
아직도 속에는 욕심만 가득하여
부처님 전에가만히 앉아
내 자신을 비워보는 연습을 많이 해야할까 봅니다..^^
아는만큼 보인다....
정말로 맞는 말인것 같습니다.
아우님의 이런 해설과 사진을 보면 그 말이 정말 실감이 나고
그 바람에 역사적으로 오래되고 해설이 필요한 곳을 여태것 헛 보고 다닌 것이
무척이나 안타갑고 아쉬운 마음이 가득합니다.
이곳 저곳 구경 한다고 여러곳을 다니나 그저 늘 갔다 왔다는 기억뿐...
즐길줄도 모르고 감상 할줄도 제대로 모르고(아는게 없다보니 어쩔수 없이..)
오늘도 좋은 구경과 함께 많은 지식을 쌓고 있습니다.
가즈런히 벗어 놓은 스님들의 신발과 한편에 신발마저도 제대로 벗어 놓지 못하고
급히 부처님에게 빌어야 될 사연이 무엇일가 하는 쓸데 없는 생각을 하며
또 한편으로는 그런 자잘한 즐거움을 맛보기 사진으로 올려 주시는
아우님의 마음 씀씀이에 감사드립니다......^^
에구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형님.
뭔가 꼭 보고와야겠다고 생각을 단디 하고
찾아가서 엉뚱한 것만 보고 온 경우가 많습니다.
금강계단에서도 기단 아래의 사천왕상을 자세히 좀 보고
찍어 와야 겟다고 갔는데 그건 깜빡 하고
엉뚱한 곳에만 신경쓰다가 왔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이런 역사적인 이야기가 묻어 있는
유적들이 참으로 많아 외관만 보고 오는 것 보담
그 속에 숨어 있는 이야기를 보고 느끼는 것이
참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
형님께서 보신 스님들의 신발과
보궁의 각안에서 빌고 잇는 사람들의 신발의 비교가
너무나 와 닿습니다.
빌고 또 빌고..
그렇게 하여 얻어와 지는 것이 무엇인지
곰곰히 한번 생각하여 봅니다..^^
조그마한 절이 고즈넉하옵나이다...
적멸보궁은 마음대로 갔다붙이면 안되는 특수한 명칭인걸로 압니다.
신라의 불교문화가 그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것 같사옵니다.
여기 사천왕님들은 타사찰보다 더 무섭습니다.
늘 고객들( ? ) 찬티 팬들위해 노력하시는 두가님에게 큰 박수를 올립니다.
일전에는 누군가에게 보여주고 도움이 되는 것을
포스팅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기도 하였는데
이곳에 터를 잡고부터는
日記를 쓴다는 생각을 많아 하고 있습니다.
이제 이 나이쯤에 뭘 자랑할수 있겠나이까?
그저 남는 뭔가 하나를 만든다는 심정이랄까요..ㅎㅎ
시간이 되면 우리나라 적멸보궁을 모두 다 찾아 볼 생각입니다.
공부도 좀 해 가면서요..^^
예
참 소중하신 말씀입니다.
어제는 우이동에 있는 코오롱 등산학교 빌딩, (o2)빌딩서
밤늦게까지 한국산악회 청소년 등산 아카데미 관련 전국 회의 참석하고
한국산악회 10동지 추모행사 다녀옵니다.
이 빌딩에 인공빙장이 있습니다.
지하 3층부터 지상 4층까지의 인공 빙벽입니다.
설악산 켄싱턴 못미처 노루목에 있던 추모비가
예전 우이산장 앞 무당골로 옮겨와서 추모 행사를 하거든요...
산악인의 묘지입니다.
그 히말라야 원정을 앞두고 죽음의 계곡에서 눈사태로
산화하신 10동지 선배님들 추모행사였답니다.
즐거운 주말되세요...
내일은 북한산갑니다.
아휴 과음으로 잠시 졸다 일어났습니다.
지하 3층부터 지상 4층까지이면 대단한 규모의 빙장이네요.
술을 너무 과음하시는듯 하옵니다.
술은 많이 드시면 분명히 취합니다.ㅎㅎ
조금 줄여서 드시길 바랍니다..^^
겨울이 짧은 한국에 대단한 투자를 햐셨는데 운영이 어려워 힘들어 하던 운영자가 지자체의 도움을 요청했지만
강북구청의 열악한 재정으로 거부되면서 마지막엔 철거라는 문제까지 대두된 후 산악인의 중론에 코오롱 그룹이
산악인들에게 받은 빚을 갚는다는 심정으로 코오롱 등산학교 건물로 임대하기에 이르렀답니다.
한국 등산지원센터 - 산림청 부속 기관
그나마 명맥이 유지되는것 감사하여야 할일입니다.
많은 산악인이 찾아는 가지만 운영료에 사용료가 비싸 그것도 힘들답니다.
꾸준히 연습하면 암빙벽을 4계절 즐길수 있는 암장과 빙장이 건물에 모두다 갖춰져 있지요.
6층은 호프 바이구요.
5층은 교실 겸 강당입니다.
4층은 사무실 코오롱 등산학교
3층은 객실입니다. 산장 형태입니다.
지하는기계실 인공암벽장...
1 ~ 2층은 코오롱 스포츠 장비점입니다.
참 대단한 나라입니다.
기네스 북에 오른 세계 최대규모의 실내빙장입니다.
누이좋고 매부좋고
코오롱이 좋은 일을 하였네요.
대단합니다.
기네스에까지 오른 빙장이 우리나라에 있다니요..^^
멋진 분재 한번조사하셔서 올려주세요...
댓글좀답시당...
제주 한림공원에 출장 함 다녀 와야겠네요.ㅎㅎ
예 관심이 있어서 늘 그리워하는게 나무키우고 꽃가꾸는 겁니다.
출장까지야 ~~~ ^^^
분재는 정성과 기술이 꽤 필요하다고 들었습니다.
대단하시네요..^^
언제 봐도 두가님의 사진은 앵글도 기가 막히고 찬스에도 탁월하시네요. 프로도 두려워하는 프로 사진 작가!!!
이크, 칭찬의 말씀 고맙습니다.. 화인님.
두가님의 일목요연한 해설 곁들인 용연사 간접구경을 하다보니,
마치...지난주에 이어 어제 '1박2일'에서 또 한번 재미있는 우리 유산을 설명해주신 유홍준교수가 생각납니다.^*^
우리의 유적들을 볼때마다 외국...특히 동양 그 어느 나라들의 유적들과 비교(특히 고대 건축물)해보면
다른 나라들것의 엄청 크고 엄청 화려함에 금방 "아~~" 하고 가벼운 탄성이 나오지만
우리것은 크기와 기교에서 작거나 적지만 한참을 들여다보고나면 "음~~" 하는 무겁고 깊은 소리가 나옵니다.
심플함과 절제의 극치라고 전 표현하고 싶습니다만....
암튼 어제 유홍준 교수가 1박2일에서 '종묘'를 찿으라는말에 서울출신이 대부분인 젊은 연예인들 일부는 암사동엘 가서 찿질않나....ㅠㅠ
아마 그들 대부분이 '종로4가' 아님 '종묘앞' 이라는 버스 정류장을 수없이 타고 내렸을터인데 그걸 못찿고 헤매는걸 보다보니...
요즘 젊은이들 가슴과 머릿속엔 도대체 뭘 담고 다니고있는건지.....노래와 춤 그리고 SNS질들은 대단한것같은데...
어제 유홍준 교수의 '우리도 야단 맞아도 쌀' 말씀이 생각납니다
"우리는 지금 옛 선조들이 만들어 놓은 보물, 유산들을 보며 이렇게 배우고, 즐기고 있는데,
지금 우리가 만들어놓은, 만들고 있는 것들을 보면 백년뒤에 보물이 될만한 것들은 별로 없는 것 같다!"
마지막 인용 말씀이 너무나 와 닿습니다.
우리 옛 선조들은 혼이란 것을 작품에 담아서 오직 정성으로 만드는데 뭔가 하나를 만들고 세우기 전에
몸과 마음을 정갈하게 하는 일부터 소흘히 하지 않았습니다.
근데 요즘은 너무 날림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저 외양만 그럴듯 하게 꾸며서 내세워 놓고
내면을 들여다 보면 모두 허구가 가득한..
유홍준 교수도 이러다가 젊은이들한테
몰표맞고
대권행이니 어쩌니 하는걸로 박 쓰는거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사전을 보는듯 정보가 가득해서 참고하며 잘 봤습니다. 고맙습니다.^^
오늘 구독 했어요.🌸
고맙습니다.
휴일 잘 마무리 하시고
즐거운 한 주 시작 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