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산이나 들에가면 가장 흔한 야생화가 뭔지 아시나요?
너무 흔하여 온통 널려 있기 때문에 누구도 관심을 가지지 않는 흔하디 흔한, 들판에서는 잡초로 취급을 받는 꽃이기도 합니다. 이 꽃의 이름을 한문으로 쓰면 亡草입니다.
그리고 망초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 또 하나의 설이 있는데요.
어릴때부터 많이 봐온 망초... 망초를 보면서 내성(耐性)이라는 말을 떠 올립니다. 요즘 어린 학생들이 왕따등을 견디지 못해 스스로 목숨을 버리는 일을 간간 보게 되는데 가만히 생각하여 보면 제 어릴때는 지금보다 휠씬 더 왕따가 심했습니다.
또 하나의 내성을 소개합니다.
망초.. |
'넋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이버섯 따러 가다. (13) | 2012.09.24 |
---|---|
더 더 더.. 과장되고 포장되는 세상 (12) | 2012.09.22 |
발톱 무좀 치료 4개월이 지났는데 얼마나 나아 졌을까? (27) | 2012.09.02 |
이 세상에서 가장 초라한 가게 (28) | 2012.08.11 |
지령 1호 (17) | 2012.08.02 |
망초, 망초대 이야기 (10) | 2012.06.25 |
아들이 낚시로 잡아 보내온 커다란 농어 한 마리 (12) | 2012.06.06 |
오늘 아침 촬영한 부분일식의 따끈따끈한 장면 (18) | 2012.05.21 |
발톱무좀 치료 때문에 부득이 6개월 금주 선언 (14) | 2012.05.04 |
흰머리가 두개나 생겨 너무 슬픈 서른살 (8) | 2012.04.11 |
모처럼 마신 25도 소주, 이렇게 독했나? (26) | 2012.03.08 |
망초....참말로 망할놈의 잡초 입니다.
이곳에서도 정말 골치 아픈 풀입니다.
아우님의 아래 사진처럼 저것만 가득피였다면 그런데로 봐줄것 같은데
그게 아니고 잔듸 밭에 듬성 듬성 삐죽이 자라는 것을 보면 말그대로 잡것이 됩니다....
그런데 아우님의 설명에 계란꽃...ㅋㅋ
내성.. 저도 아우님과 같은 생각입니다.
제 주위를 봐도 아이들을 너무 과보호를 해서 키우는 것 같은 생각이 들어 걱정입니다.
요즘 시골에 가면 이 망초가 정말 많이 피어 있습니다.
얼마전 아내와 시골에 가서 수십년된 구지뽕나무잎을 채취한다고
우리만 알고 있는 모 장소에 가다가 이 망초밭을 지나갔는데
아내는 궂이 씨를 뿌려 일부러 심은것이라 우길정도로
온 밭에 가득 하였습니다.
정말 어디서 씨가 날아 와서 이렇게 번지는지 궁금할 정도입니다.
사람도 이 망초처럼 가끔은 모질게 억세게 살아야 되는데
요즘은 모두들 뭐든지 쉽게 포기하는 버릇들이 조금씩 늘어지는 것 같습니다..^^
아~ 저게 망초로군요... 계란후라이같은...많이 봤지만 이름을 몰랐는데 아주 망할풀이네요.ㅡㅜ

자생력이 뛰어난걸로 봐서 우리나라의 전통 야생화인줄알았는데 말이죠...
아무튼 우리 민족에게 있었던 저런 끈질긴 생명력과 내성은 요즘들어 시들해지는것같다는 생각엔 동감입니다.
그저 쉽고 편한걸로 하다가 조금만 어렵고 힘들면 그만두면 되는 풍조가 만연해있는것 같습니다.
바싹타들어가는 서울의 오후입니다. 입천정이 말라가는 느낌이네요.
길가엔 소방차로 가로수 물주기가 한창입니다.
그걸 보면서 조금만 버텨라하는 심정으로 응원해주고 있습니다.
망초 원산지가 북미라 하는데
이거이 철도사업으로 씨앗이 묻혀 일본으로 건너와
다시 부산에서 인천의 철도공사에 사용되는
침목에 묻혀들어와 우리나라에 번졌다고 합니다.
지금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고 많은 야생화가 되어 버렸습니다.
어쩌면 우리조상님들의 끈질긴 민족성과 조금 닮기는 하였지만
외국에서 들어온 것이라 바로 빗대기는 조금 그렇습니다.
정말 가뭄이 심하네요.
주말에 올 비가 좀 당겨서 오면 안될까 부탁하고 싶은 심정입니다..^^
저희 시골에서는 풍장대라고 불렀는데 소먹이로도 못먹이는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성가신 잡초지요
맞습니다. 낙재기중님.
들판에 산에 참으로 많은 풀이었지요..^^
아하~~ 저넘이 바로 그.. 망초였네요. 그렇잖아도 웬산에 저넘들이 지천이라...둥굴레 만큼.
저도 음식은 이것 저것 골라 먹는것보단,
이놈이 해로우면 저놈이 중화 시켜주고 저놈이 해로우면 이놈이 해독시켜주게끔
이것 저것 백반으로 먹는거이 최고의 밥상이라 저도 생각하는데
매스컴 따라하다 큰 효험 못 보는 사람들 제 주위에 많이 있습니다. 이것 먹아야한다..저것 먹어야한다..돈은 돈대로 더 들고!
저 같은 경우는 연이은 과음으로 고구마(?)가 묽게 쪄질 경우 매스컴에선 이구동성으로 섬유질 많은 야채를 많이 먹으라는데
전 그 반대로 육식을 많이 하면 밤고구마가 쪄지고 채소를 먹으면 더 심해집니다.
결국 체질 따라 다 다르단 이야기겠지만서도...암튼 자기 몸은 자기가 젤 잘 알지요. 테레비가 갈쳐주나요?
아침부터 고구마 얘기해서 지~송 합니다.^*^
에디님 말씀하신 본인의 체질과 음식의 비유 말씀에 딱 공감입니다.
요즘 TV에 보면 어디에 좋다고 하면서
이 운동 저 운동을 소개하는데
나오는 사람마다 모두 운동의 방법이 다르면서도
자기 운동이 최고라고 합니다.
또 다른 비유로 음식도 마찬가지인데
나오는 사람마다 이 음식은 어디에 좋아
이것만 먹어면 어떤병은 완치될것처럼 이야기하는데
정말 한심하고 딱한 처방입니다.
가장 좋은 음식이 자기 입이 찾는 것이라 하는데
요즘은 위낙에 달고 맛있는것이 많아
그런것 조금 제외 하면서
제 입에 맞는 음식을 고루고루 먹는 것이 가장 나은
건강법이 어닐까 생각하여 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는 화려한 장미꽃보다 야생화가 늘 이쁘다는 생각을 했는데..
망초라는 꽃이였네요..
오늘도 두가님 덕분에 하나 배우고 갑니다.. ^.^
이 망초도 무리지어 온밭에 가득 한 것을 보니
그 나름 예쁘게 보여졌습니다.
저도 우리 산하에 피어있는 이름모를 야생화가 정말 아름답고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