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일기

일본군이었다가 조선인이 된 김충선의 위패를 모신 녹동서원

반응형

우리나라에는 여러곳에 많은 서원이 남아 있는데 이 중 아주 특별한 서원 하나가 달성군에 있습니다.

서원(書院)이란 조선 중기 이후 연구와 선현제향을 위하여 사림에 의해 설립된 사설교육 기관인 동시에 향촌 자치 운영 기구를 말하는데 이게 여러가지 이유로 대원군에 의하여 전국에 47개의 서원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철폐하였는데 이때 달군 가창면 우륵리에 있는 녹동서원도 그 대상이 되어 1868년(고종 5)에 철폐되었다가 1885년 다시 지었고 1972년 현재보다 100m 정도 떨어진 장소에 있었는데 규모가 너무 협소하여 이것을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여 지금의 모습으로 보존되어 있는 것입니다.

 

서두에 말씀 드렸듯이 이 서원은 아주 특별합니다.

임진왜란때의 왜장이 조선에 귀순하여 다시 자기편이었던 왜군을 무찌르고 이후 병자호란과 이괄의 난 때도 혁혁한 공을 세워 정이품 벼슬을 받고 임금에게 김씨 성을 하사받아 ‘김충선’이란 이름을 얻어 조선인이 돼서 살았던 그의 위패를 모신 서원입니다.

 

김충선(金忠善)의 일본 이름은 사야가(沙也可), 그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의 장수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휘하의 좌선봉장으로 군졸 삼천명을 이끌고 동래성으로 진격하였으나 그 다음날 명분없는 전쟁은 불가라고 하면서 곧바로 경상도병마절도사 박진(朴晋)에게 투항하여 귀순하였습니다. 일본군 장수에서 조선군 장수로 바꿘 사야가는 일본군을 상대로 의병, 관군과 함께 78회 전투에서 승전하였으며 이후 여러곳의 전투에서 많은 공을 세웠습니다. 이 후 말년에는 이곳 우록동(友鹿洞)에서 말년을 보내며 조용히 살았다고 합니다. 선조임금은 그의 원래 이름인 사야가(沙也可)에서 성인 사(沙)에서 나오는 보석인 금(金)과 바다(海)를 건너왔다고 하여 이를 합친 글자인 김해(金海)를 본관으로 정해주었습니다. 현재 김충선의 후손은 전국에 17대까지 대략 2000세대, 7000여명 후손이 있다고 하며 유명인으로는 김치열 전 내무부장관과 김재기 전 수원지검장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누구나 여기까지 보면서 생각나는 궁금증 하나...

임진왜란이란 전쟁을 치루면서 조선에 투항한 김충선, 그는 조선의 입장에서는 우호적인 입장이지만 일본의 입장에서는 단연 매국노가 될 수 밖에 없고 특히 전쟁에 나가서 적국에 투항하였으니 배신감의 정도가 아주 대단하였을 것은 짐작이 가능 합니다. 천하의 반역자에다가 멸문지화를 당하고도 남을 일이었는데 그대로 넘어 갔을까요? 당연히 이건 그대로 사실화 되어 일본인들에게 많은 미움을 받기도 하였는데 1915년 그의 호를 따서 만든 모하당문집이 재간되자 일본학자들은 이와 같은 매국노가 동포 중에 있다는 사실만으로 유감의 극이라고 할 만큼 증오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를 만회하는 계기가 있었는데요. 바로 1970년대 일본에서 국부로 추앙받는 소설가 시바 료타로(司馬 遼太郎)가 이곳 우록동을 방문해 그 내용을 보고 책을 쓰면서 분위기가 달라지기 시작하였습니다. 그 뒤 일본의 방송에서도 김충선의 내용을 방송하면서 그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천하의 배신자가 평화론자로 부활하여 한일양국의 우호적인 물꼬를 튀워주는 역활을 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이 후 일본인 관광객이 이곳 녹동서원을 찾기 시작하면서 이곳은 새로운 한일관계를 정립하는 특별한 장소가 되어진 것입니다. 지금도 녹동서원 뒷편에는 김충선의 묘가 있는데(아래 사진 참고) 우리나라 사람이 녹동서원을 방문하면 이곳 묘까지는 참배를 잘 하지 않는데 일본인들이 이곳을 찾으면 반드시 산길을 제법 올라 만나는 이곳 묘소까지 찾아 참배를 한다고 합니다.

 

현재 녹동서원 옆에는 98년 개관한 유물전시관 충절당과 생활관인 첨모당이 있고 반대편에는 2012년 5월에 개관한 한일우호관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1층에는 홍보영상관, 전통예절실, 교류역사 체험관이 있으며, 2층에는 기획전시실과 야외 전통놀이 체험시설이 마련됐습니다. 이 외에도 모하당 김충선 장군의 발자취를 담은 3D 입체영상과 통신사절 등 한일 교류역사를 볼 수 있고 기획전시실에는 일본이 기증하거나 임대해준 각종 유물이 전시돼 있습니다. 녹동서원과 함께 들려서 둘러보면 좋은 장소입니다.



 

 

녹동서원 지도.

녹동서원 찾아가는 길입니다.

가창을 지나 팔조령으로 향하는 길을 따르다가 길 우측 안내판이 세워져 있는 곳에서 우회전을 하여 우록동으로 들어가다보면 약 10여분 후 바로 길옆 도로변에 있습니다.

가창에서는 그냥 지나지 말고 그 유명한 가창찐빵을 한 통(3,000원) 구입하여서 따스하게 먹으면서 가면 더욱 좋습니다.

위 지도에 표시한 빨간 원이 녹동서원의 위치입니다.

 

대구에서 가창을 지나 팔조령으로 항하는 길 옆에는 녹동서원을 안내하는 표시판이 세워져 있습니다.

 

녹동서원 도착.

바로 도로길 옆에 서원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먼저 외삼문인 향양문을 만나게 됩니다.

 

외삼문을 들어서면 바로 강당인 숭의당(崇義堂)이 있는데요. 전면에는 녹동서원이란 현판이 붙어 있습니다.

 

전면에서 본 전체적인 녹동서원의 모습입니다.

기둥에는 많은 편액과 주련이 걸려 있는데 건물 안쪽 기둥에 4개짜리 주련(하햔현판에 검은 글씨)이 바깥쪽에 6개의 주련(검은 현판에 흰 글씨)이 걸려 있는 것이 위 사진에서 보여 집니다. 이는 모두 구의 유명한 서화가였던 석재 서병오 선생의 글씨입니다. 이 중 안쪽에 걸려있는 4개짜리 주련글씨가 맘에 와 닿아 그 뜻을 소개하여 드립니다.

 

구름을 쫓아 살고픈 마음 일어나는 신선마을이 왼편 깊숙이 자리하고(雲情留駐僊洞左邃)

세속의 티끌 씻어낼 수 있는 한천이 오른편으로 흐르네(塵心洗却寒泉右流)

형제바위 늘어선 곳은 살아갈 터전 길이 닦을 만하니(兄巖列立基業長修)

삼정산 밝은 자락에 몸소 열 곳을 점지했네 (三頂明山親占十地)

 

정면 왼편에서 비스듬히 바라다 본 강당의 모습입니다.

 

아직 공사가 덜 끝났는지 입구가 열려있지 않아 들어가 보지는 못하였는데 아마 사당인 녹동사(鹿洞祠)로 여겨 집니다.

 

측면에서 본 전체적인 녹동서원의 모습입니다.

하얀 눈과 함께 꽤 운치가 있어 보입니다.

 

녹동서원 현판

아쉽게도 누가 쓴 글씨인지는 아직 파악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아래는 서원의 역사와 모하당(김충선의 호)의 일대기등을 기록한 현판들인데 강당의 내부에 걸려있는 것들을 찍은 것입니다

 

 

 

 

녹동서원을 방문하는 이들에게 소소한 즐거움을 주는 문짝입니다.

일본식이 살짝 스며든듯한 재미있는 문양의 문살의 무늬와 우리 고유의 문창살이 정겨움을 더해 줍니다.

 

 

 

서원 바깥쪽 사당 앞에 있는 유적비

 

98년 개관한 유물 전시관 충절관

 

녹동서원 오른편에 있는 달성 한일우호관

 

 

 

내부는 깔끔한 시설로서 설치되어 있으며 임진왜란과 그 시대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여러가지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들리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곳 내부에서 찍은 사진 들입니다.

 

 

 

 

 

 

우호관 뒷편에서는 김충선의 묘소로 올라가는 길이 있는데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곳을 방문하면 잘 올라가지 않고 일본인들이 이곳을 방문하면 꼭 올라가서 참배한다는 김충선의 묘소에 저도 올라 가 봤습니다.

 

300m 정도로 표시가 되어 있는데 제법 한참 올라 가야 합니다.

 

윗편에 있는 묘소가 김충선의 묘소입니다.

윗편 왼편이 김충선의 묘, 그 옆이 부인의 묘. 나머지 하나는 파악하지 못하였습니다.

 

 

묘소에서 내려 오면서 내려다 본 녹동서원과 왼편으로 보여지는 우호관의 건물입니다.

한국과 일본의 새로운 역사를 창조하는 교류현장이 아닐까 합니다.

김충선의 이야기는 1998년 한 일 양국의 교과서에도 동시에 실렸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