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일기

선암사 매화는 얼마나 피었을까?

반응형

선암사는 꽃절이라고 해야 하나요?

우리나라에는 많은 절이 있지만 이만큼 고풍스런 절집에 기품있는 꽃나무들이 가득한 곳도 드물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는 물론 선암사의 이력이 많은 영향을 미쳤으리라 여겨 집니다.


선암사는 태고종(太古宗)의 본산으로서 태고종은 대처승(帶妻僧)의 종단(* 앞의 글은 오해의 소재가 있을수 있어 이 글에 다한 어느분의 참고글을 옮겨와 아래의 더보기 란에 넣어 두었습니다.)으로서 석가를 종조(宗祖)로 하고 고려말 고승인 태고화상 보우(普愚)의 종풍(宗風)을 선양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계종 다음으로 가장 큰 교세를 가진 불교 종단입니다.

암튼 한국 불교계를 대표하는 조계종과 태고종의 본산 선암사가 절의 소유권 문제로 오랬동안 법적인 타툼을 벌이는 상황이 발생했는데 이 와중에 아주 잘 된 일이 있다면 절집이 변화가 없었다는 것입니다.

 


그 덕분에 이 절을 찾는 이들은 고풍스런 옛 절 맛을 그대로를 느낄 수 있으며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도 포장이 되지 않은 도로를 한참이나 따라 거닐면서 오래된 나무들의 향기와 길 옆 소리내어 흐르는 개울의 살가운 재잘거림도 가깝게 들을 수 있습니다.


선암사 위치


선암사에 들렸습니다.

이번에 들린 목적은 선암매(仙巖梅)를 보기 위함이었습니다.

보통 홍매화가 일반 백매나 청매보다는 일찍 개화를 하는데 이곳 선암사 홍매는 아직 개화 할 생각을 않고 있습니다.

저처럼 성질머리 급한 이들이 선암사 매화를 보기 위하여 많이 찾아 왔으나 이제 겨우 꽃몽우리 상태인 매화를 보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습니다.


봄철에 선암사(仙巖寺)를 들리는 이유는 선암매(仙巖梅)를 보기 위함이라 하는데 선암매란 선암사 경내 운수암 오르는 길인 종정원 돌담길에 있는 약 50여그루의 매화를 일컷습니다. 백매도 있고 홍매도 있는데 제가 들린 3월 12일에는 백매는 거의 꽃이 만개했는데 홍매는 아직 피지 않았습니다. 대략 3월 말쯤이면 모두 피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어째든 선암사 매화를 보기 위하여 들렸지만 이제 막 한 두 송이 피어난 매화에 조금 실망을 하였지만 그래도 짙은 매향이 가득한 돌담길에 한참이나 머물며 매향에 취하고 꽃의 아름다움에 취하고 왔습니다. 겨우 한 두송이 피어난 홍매화의 자태는 어찌 그리 곱던가요.


올해 이런저런 매화구경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겨울에 핀 통도사 홍매화 : http://duga.tistory.com/2247

산청삼매((山淸三梅)) : http://duga.tistory.com/2267

광양 매화마을 : http://duga.tistory.com/2270


지난해에 들린 화엄사 홍매화 구경도 좋았습니다. : http://duga.tistory.com/2123

  

선암사는 이번에 구경할려고 들린 매화구경 말고도 유명한 것이 두가지 더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뒷간(화장실)이고 또 하나는 입구에 있는 승선교입니다. 선암사 뒷간은 똥을 누고 한참이나 있으면 바닥에 닿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높이가 장난이 아닙니다. 근데 제 기억으로는 아주 오래 전에는 정말 높이가 높았는데 그 뒤 어느때인가부터는 조금 높이가 이전 같지 않다는 생각이 됩니다. 그래도 암튼 높습니다. ㅎ

승선교(昇仙橋)는 선운사 입구에 있는 무지개 돌다리로서 조선 숙종때 호암스님이 6년에 걸쳐 만든 것입니다. 6년이란 세월이나? 라고 요즘 생각하면 참 우습지만 그만큼 공을 들인 돌다리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선암사는 주차장에서 비포장도로를 따라 약 20분정도 걸어 올라가야 합니다.

주차장 바로 앞에는 지역 주민들이 파는 농산물들이 가득 하네요.



천원짜리 지폐를 꺼내어 헤아리고 있는 할머니한테 말을 걸었습니다.

'할머니 오늘 많이 벌었어요?'

'예, 벌긴 많이 벌었는데 전부 천원짜리 구믄유'...

하며 웃습니다.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분명 봄은 오긴 왔는데 나라도 사회도 경제도...

온 대지도 아직 겨울처럼 느껴지네요.



그래도 얼음 녹아내린 계곡의 물은 소리내어 흐르고 있습니다.



선암사 조금 못미쳐 길 우측에는 부도탑이 있습니다.

모두 앞을 보고 세워져 있는데 중간에 토라진 아이마냥 빼딱하게 좌측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부도탑이 한 기 보입니다.



부흥하고 무너지고 태워진 역사를 격은 선암사를 다시 애써 중창한 조선 영조때의 상월 새봉스님의 부도비인데 입적한 금강산 묘향산 방향으로 향하게 해서 이런 모습이 되었다고 합니다.



승선교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다리로 정평이 나 있습니다.

윗쪽으로 통행할 수 있습니다.

보물 400호로 지정이 되어 있습니다.



뒷편으로 보이는 건물은 강선루

개울 수량이 많으면 반원이 둥근원으로 변하는데 지금은 물이 너무 적습니다.

바닥에 너른 바위로 되어 있어 큰 비가 와도 이 다리는 꺼떡없다고 합니다.

다리 아래 중간쯤에 툭 튀어 나온 돌은 용머리.

돌로 된 무지개 다리에는 모두 이 용머리가 있는데 이걸 빼면 다리는 와르르르르...



용머리.

다리의 기준점입니다.



절집 입구 일주문 바로 앞에 있는 차밭

싱싱합니다.



일주문

그냥 읽으면..

조산암

계선사가 됩니다.

특이하게 써 두었습니다.



김만중의 아버지 김익겸이 쓴 육조고사 현판.




크게 비탈지지 않은 절집이라 둘러보기가 아주 좋습니다.



대웅전



대웅전 안의 석가존

보통 양 주위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호위하여 모시는데 이곳에는 석가부처의 단독불로 되어 있습니다.



요즘 여느절이든 들리면 대웅전 내부 천정을 쳐다보는 버릇이 생겼는데 이곳도 한번 올려다 보았습니다.


위 사진은 클릭하며 크게 보여 집니다.



늘 눈 높이로만 보면 그게 그거고 별거 아닌듯 보이는 절집 풍경이 이 천정을 올려다 봄으로서 참으로 많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기기묘묘한 디테일의 목조각 장식들.

그리고 말로 형연할 수 없는 아름다움.



매화를 보기 위하여 대웅전을 돌아 뒷편으로 가는데 마당 한쪽에 작은 화단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누가 밟을랴..



한문 글씨는 간혹 헷갈릴때가 있습니다.

좌에서 우로 읽는 경우가 있고 우에서 좌로 읽는 경우가 있는데..

위의 현판에 언듯 '원정종'이라고 읽었는데 다시보니 종정원이네요.ㅎ

종정원 입구 우측에 고매가 한그루 보입니다.

이 나무를 비롯하여 왼편 담장에 죽 심어진 매화나무들이 모두 선암매로서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되어 있습니다.



선암매

먼 곳으로 백매가 만개한 모습이 보여 집니다.

우측 담벽으로 앞쪽으로는 홍매인데 아직 개화가 되지 않았습니다.



영 안 핀 것은 아니고...

요만큼 피었습니다.

자세히 보믄 활짝 핀 홍매 두어송이는 구경은 할 수 있네요. ㅎ



뒷쪽편에 핀 백매



담장으로 붉게 핀 홍매를 보기 위하여 찾은 이들이 제법 있었으나...



모두 약간은 아쉬움이..



그나마 활짝 핀 백매가 있어 향기에 취해 봅니다.









여러그루의 홍매 중에서 가장 내 맘에 드는 홍매 한그루.

꽃이 다 피면 정말 예쁠듯....



넌 내꺼.

점 찍어 놨습니다.ㅎ



담장 곁으로 홍매가 가득 피면 정말 예쁘겠지요?



종정원과 원통전 사이의 골목 담장에 있는 매화나무들.

이것이 선암매로서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된 나무들입니다.

백매는 흔해서 이곳저곳에서 많이 보기도 하는데 이곳 담장의 오래된 홍매는 개화가 되면 정말 멋있게 예쁠 것 같습니다.


위 사진은 클릭하면 크게 보여 집니다.



원통전 뒷편에도 커다란 백매가 한그루 있습니다.

 아주 고매로서 그 풍채가 대단합니다.



매화나무가 이정도 되면 정말 대단합니다.

이건 백매라서 약간 아쉬움이...



이곳도 이제 막 꽃봉우리가 피어 오르기 시작하고 있는데 보름뒤에 왔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자꾸 듭니다.






원통전은 관음전으로 쓰기도 하는데 부처님 앞으로 보이는 기왓장은 유리에 비친 모습입니다.

목조관음보살님이 계시는데 분위기가 약간 신비하다게 느껴지기도 하네요.

위에 쓰인 대복전이란 현판은,

후사가 없던 정조 임금을 위해 이곳 눌암스님이 100일 기도를 하여 그 뒤 순조를 낳았는데 그 고마움으로 순조임금이 내린 현판이라 합니다.

겉에는 원통전이란 현판이 걸려 있고 내부 상단에 이렇게 대복전이란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이곳 저곳에 오래된 산수유 나무도 많은데 꽃이 피면 아주 보기가 좋을듯 합니다.



선암사의 기를 받아 내공을 모아 봤습니다.

조각난 기와로 담장에 스톤발란싱...

얍!!!



사진을 찍는 20여초간 서 있다가 약한 바람이 불어 넘어져 버렸습니다.









종무소 앞 각 스님들 명패가 달려있는 우편함이 이채로웠습니다.



커다란 소나무 한 그루가 눠여 있는데 울타리를 쳐 놓아 아쉬웠습니다.



뒷편 스님들이 거처하는 요사채인듯 한데 그 앞에 운치잇게 돌아가는 작은 물레방아와 홍매 한그루,,

정말 잘 어울리는 한폭의 그림입니다.

이곳은 아무나 드나 들 수 있는 곳입니다.



가만히 있는 사진으로는 흥이 나지 않아 물레방아를 돌려 봤습니다.






배롱나무가 내다보이는 담장 안으로는 누가 무얼하고 있을까요?



선암사 뒷간.

해천당 옆에 자리한 이 뒷간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아름다운 절집 화장실로 꼽히고 있습니다.

이곳에 들어가 앉아 볼일을 보면 밑이 시원하다는 느낌인데 사실 요즘 도시에서 좌변기에 습성이 되어 있는 이들은 이곳 사용하기가 조금 거시기는 할 것입니다.

그래서 바로 우측에 현대식 화장실이 따로 있습니다.



선암사 구경을 마치고 되돌아 나오는 길.

들어갈때는 미처 보지 못했던 나무 한그루가 마주보면 씩 웃고 있습니다.

웃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구요?

그럼 화면을 보면서 고개를 왼편으로 90˚ 숙여 보세요.^^





반응형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cent Comments
Visits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