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일기

1년을 기다려 떠난 여행 - 쌍봉사의 가을 풍경

반응형

 

 

제작년(2014년) 이맘때 화순적벽을 찾아 갔습니다. (http://duga.tistory.com/1890)

전남 화순에 있는 화순적벽은 그 풍경이 너무 좋다고 하여 찾아 갔는데 생각만큼 큰 감흥을 받지 못하여 조금 실망을 했는데 그때 동행한 해설사분이 다음에 화순에 오실때는 이맘때의 쌍봉사를 들려 보시라고 권해 주었습니다.

 

대구에서 전남 화순까지 한번 마음먹기가 그리 쉽지도 않은데 어쩌다보니 지난번에 천탑천불의 운주사(http://duga.tistory.com/874)도 찾아 보았고 화순적벽과 이번에 쌍봉사도 찾았으니 먼길 여행지로서는 나름 추억을 많이 만든 곳이 되었습니다.

 

쌍봉사....

참으로 마음속에 숨겨놓고 있었던 여행지였습니다.

작년 가을에 찾아 간다고 하다가 그만 시기를 놓쳐 가지 못했고 올해는 11월 중순의 하루를 꼭 가 보겠다고 해(年)가 시작될 무렵부터 다짐을 하고 있었던 곳입니다. 딱 이맘때를 놓치면 쌍봉사 대웅전 뒤로 단풍나무들의 시나위를 보지 못할 것 같아 한순간에 달려 갔습니다.

 

전날 거나하게 마신 술김에 늦잠을 자지 않을까 염려를 하였는데 눈이 뜨인 시간은 새벽 3시...

조금 더 눈을 붙일까 하다가 잠시 후 일어나서 대략 여행도구 몇가지를 챙기고 어둑한 새벽에 차를 몰아 달렸습니다.

뒤늦게 찾아오는 새벽의 피로감은 휴게소에 들려 아침을 사 먹은 후 진한 커피로 씻어 내구요.

 

 

쌍봉사는 대구에서 약 3시간정도가 걸리는 먼 거리입니다.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의 계당산 자락에 있는 아담한 절입니다.

송광사의 말사로서 창건자 철감선사의 호인 쌍봉(雙峰)을 따 지은 절 이름입니다.

또 이 쌍봉이란 이름은 절의 앞 뒤로 봉우리가 각각 있어 두개의 봉우리를 따 지은 이름이라고 하네요.

통일신라시대인 839년에 창건 되었으니 지금부터 대략 1,200년 전에 지어진 고찰입니다. 그 뒤 여러번의 중창을 거쳐 오늘에 이러렀는데 이 절의 명물이었던 삼층목탑형식의 대웅전이 1984년에 어느 할매가 촛불을 켜 놓고 기도를 하다가 깜빡 잠이 든사이 화재가 일어나 다 타 버렸는데 다행히 안에 있는 불상은 동네 사람들이 업고 나와 화마를 면했다고 합니다.

 

그 뒤 현재의 대웅전으로 다시 저어졌는데 그때의 모습과 거의 비슷하게 지어진 삼층목탑 형식의 대웅전은 우리나라에 법주사 팔상전과 함께 목탐형식의 건물로서는 유일한 것이라 이전의 소실된 대웅전의 아쉬움은 크지만 그래도 특별한 건축형태로서 가치가 있는 곳입니다.

 

제가 쌍봉사 여행을 계획하면서 일년전에 검색을 하다가 보관하고 있는 것이 아래 사진입니다.

어디에서 찾아 가지고 있는지를 몰라 출처를 알지 못하는 사진입니다.

지금의 대웅전이 불타기전의 모습인데 정말 멋집니다. 이 건축물은 보물로 지정이 되어 있다가 불타고 재로 짓는 바람에 보물도 취소디어 버렸습니다.  여떤 미친 영감쟁이 땜에 타 버린 국보 1호 숭례문이 다시금 생각이 나네요..

멋진 삼층목탑형식의 대웅전은 이제 새롭게 다시 지어졌지만 그때 건물과의 비교도 해 보는것도 괜찬을듯 합니다.

 

가을..

가을은 참 슬픈 계절입니다.

낙엽도 떨어지고...

어느날 거울을 보니 갑자기 폭삭 늙어있고..

거리에는 메마른 바람이 휭, 소리를 내며 지나가며 겨우 달려있는 이파리들을 휘날리게 합니다.

그런 것들과 같이 억매여 메마른 가슴속에 차가운 바람이리도 지나가면 더욱 더 가슴 언저리가 아파 집니다.

 

쌍봉사의 가을 풍경은 참 멋졌습니다.

절집 뒤로 보이는 단풍들이 예뻤고, 그리 붐비지 않는 절 마당의 호젓함이 좋았고, 온통 가을 잎이 툭툭 떨어져 사방으로 휘날리는 스산함도 나름 너무 좋았습니다.

 

 

 

화재로 소실되기 전 쌍봉사 대웅전의 모습

이 건물이 그대로 남아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아쉬움이 가득 합니다.

 

 

쌍봉사 가는 길목에 있는 쌍봉마을

마을 규모가 제법 큽니다.

 

 

가로수들이 단풍나무로 된 것들이 많아 차를 빨리 몰 수가 없습니다.

오색의 단풍들이 길 옆으로 나열되어 있는 풍경이 너무 아름답습니다.

 

 

도로에서 바라다 보이는 쌍봉사

이곳 쌍봉사는 차에서 내리면 바로 절입니다.

걸어 들어가는 구간이 전혀 없네요.

 

 

도로에서 바라다 보이는 쌍봉사의 가을 풍경입니다.

파노라마로 만든 사진입니다.

 

위 시진은 클릭하면 크게 보여 집니다.

 

 

 

일주문에는 쌍봉사자문이란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위 사진에 보이는 다리로는 차량 통행은 안되고 우측으로 약간 돌아서 들어가면 일주문 안에 주차를 할 수 있습니다.

 

 

 

일주문을 지나고 천왕문을 지나면 바로 경내입니다.

정면에 삼층목탑형식의 대웅전이 보여 집니다.

 

 

오색의 단풍들과 절집의 건물들이 참으로 멋지게 어울려지는데요.

그리 크지 않는 절이지만 마당에 있는 고목들이 역사를 되집어 주고 오래된 감나무의 빨간 감들이 정겨움으로 다가 옵니다.

널찍한 마당이 맘에 드네요.

 

위 시진은 클릭하면 크게 보여 집니다.

 

 

새로지은 대웅전

목조3층석탑형식입니다.

 

 

대웅전 안에는 화마를 피한 역시 목조인 석가삼존불이 모셔져 있습니다.

석가와 두 제자인 가섭존자와 아난존자의 상입니다.

두 제자가 두 손을 모으고 합장하고 있는 모습이 특이합니다.

다른 절집의 대웅전에 비해 자리가 넓지를 않아 여러명이 들어가 있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약간 비스듬한 자리의 뒷편에서 바라다 본 대웅전

 

 

좌측 측면에서 바라본 풍경

 

 

 

뒷편으로 종무소와 공양간등이 돌담을 사이에 두고 자리하고 있습니다.

동네 이웃집처럼 아주 편안하게 자리하고 있네요.

 

 

대웅전을 정후면에서 바라본 풍경

 

 

단풍나무와 잘 어울려집니다.

 

 

이전의 대웅전과 비슷한 각도에서 한번 찍어 보려고 했는데 높이가 맞지 않아 조금 다른 사진이 되었습니다.

단청이 없는 소박한 모습이 너무 맘에 듭니다.

목탑의 형식이라 이전에는 대웅전의 역활을 하지 않았다고 하는데 그래서 단청을 하지 않은 것일까요?

아래와 비교..

 

 

이전의 대웅전과 흡사하게 지은 지금의 대웅전은 오래도록 잘 지켜져서 다시 보물로 지정이 되길 바래 봅니다.

 

 

절마당에 있는 감나무와 어울려 정겨운 풍경을 연출하는 쌍봉사 경내풍경

맨 좌측에 범종각이 보여 집니다.

 

위 시진은 클릭하면 크게 보여 집니다.

 

 

뭔가 할 짓이 없을까 궁리하다가 ...

대웅전 앞 마당에 세워져 있는 당간의 지주가 보이길래 그곳에서 깨어진 기와 조각을 주워 와 기와발란싱 ...

 

 

 

부처님의 공력을 잠시 빌려 세워 본 기와 조각..

바람이 불어 곧 떨어졌습니다..

 

 

절마당 좌측편에서 찍은 사진들로 만든 파노라마

 

위 시진은 클릭하면 크게 보여 집니다.

 

 

 

절마당 너거수 밑에는 이런 고인돌 형식의 석탁이 놓여져 있습니다.

여기에 앉아 다정한 이와 따스한 차 한 잔 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극락전 앞의 단풍나무입니다.

극락전 내부에 어떤 보살님께서 유난히 심취하셔서 기도를 드리고 있는 중이라 사진을 찍지 못했습니다.

이 극락전은 대웅전과 함께 6.25때 불타지 않고 남은 유일한 건물인데 위 사진에 보이는 단풍나무가 화마를 단절시켰다고 합니다.

현재는 대웅전이 소실되어 새로 지었으니 이 절에서는 가장 오래된 건물입니다.

 

 

지장전 내부의 모습

지장보살을 비롯하여 그 권솔들이 좌우로 죽 나열되어 있는데 특이한 모습입니다.

지장보살은 대좌에 앉았고 시왕은 의자에 앉아 있으며 나머지는 대개 입상입니다.

 

 

제법 볼만한 장면이라 파노라마로 만들어 봤습니다.

 

위 시진은 클릭하면 크게 보여 집니다.

 

 

 

호성전이란 전각인데 우리나라에서 유일무일한 T자형 맞배지붕입니다.

약간 일색의 느낌이 나고 어느 양반집 사랑채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호성전을 약간 옆으로 비껴서 본 모습

 

 

호성전 내부에는 이 절의 창건자인 철감선사와 철감선사가 중국에서 공부할때 도움을 받은 조주선사의 진영

차나 한잔 마시게...라는 끽다거(喫茶去)가 조주선사의 작품이라 하는데 ... 잘은 모르지만...

 

 

이제 쌍봉사의 최고 볼거리 국보 제57호인 철감선사탑과 보물 제170호인 철감선사탑비를 만나러 갑니다.

두 작품은 절의 왼편길을 따라 약 100m정도 올라가면 됩니다.

우측으로는 절 뒷편의 대나무 밭이 자리하고 좌측으로는 이런저런 단풍나무들이 어울러져 멋진 풍경을 연출 합니다.

 

 

계단길을 올라가면 됩니다.

 

 

오래된 감나무에 매달린 홍시들이 정겹습니다.

 

 

철감선사탑과 철감선사탑비는 한곳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철감선사탑은 우리니라에서 가장 기묘하고 멋진 돌 작품이라 알려진 것입니다.

철감선사의 사리를 모셔논 부도탑으로서 8각 원당형으로 되어 있는 이 석탑은 신라 경문왕 8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냥 멀리서 얼핏 보아 넘기면 그만이지만 약간만 관심을 가지고 가까이서 들여다 보면 놀라움을 넘어 경이로움까지 드는 돌조각 작품입니다.

서기 868년에 만들어졌으니 지금부터 대략 1,200년 전...

1,000년이 넘는 세월동안 이 자리를 지키고 있으면서 얼마전에 만든것처럼 돌의 윤곽이 뚜렷합니다.

다만 상층부의 일부가 사라져 약간 허전한 아쉬움이 있습니다.

 

 

전체적인 모습입니다.

보통 나라의 문화재로는 보물과 국보가 있는데 국보란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 중에서 특별히 더 보존가치와 귀함을 지목하여 지정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위낙에 외세의 침략을 많이 받아 목조로 된 문화재가 적은 반면에 돌로 된 문화재가 많아 탑이나 석조물등이 보물로 지정이 된 것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국보로 지정된 석조물은 그리 흔하지 않은데 이곳에서 국보의 문화재와 상면하는 영광을 얻었습니다.

 

 

디테일한 장면입니다.

상층부의 지붕 막새기를 자세히 보면...

 

 

이와 같이 그 끝에다 연꽃무늬를 하나하나 새겨 넣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기가 막히는 솜씨입니다.

정 끝에 손 힘 하나가 어긋나도 만들 수 없는 ...

지금 어느 석공의 장인이 이렇게 만들 수 있을까요?

 

하단부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두 연꽃으로 조각이 되어 있습니다.

그냥 진흙으로 빚어도 이런 솜씨를 내기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중층부..

꼭 요즘 만든 것 같은 느낌입니다.

전기로 연마기를 돌려 만들어도 이런 디테일은 어렵지 않나 생각이 되는데 이런 정교함을 정 하나로 두드려서 만들었다니 ..

놀랍습니다.

 

 

하단부입니다.

중국의 엄청난 규모의 돌조각 작품들에서 많이 놀라다가 이제 제자리를 찾았습니다.

그것들보다 이게 휠씬 더 크고 우람하고 멋집니다.

 

그 옆에 있는 철감선사탑비로 이동합니다.

 

 

아래는 거북이고 위는 용입니다.

중간의 층 모양으로 생긴 사이에 비석이 있었으나 이건 지금 사라지고 없습니다. 일제 강점기에 잃어 버렸다고 하는데 이 또한 그넘들이 가져간 모양입니다.

받침돌인 귀부는 머리는 용의 모양을 하고 있고 여의주를 물고 있습니다.

비신위에 이수는 용의 모양보다는 구름 모양을 많이 새겨 두었는데 당대의 석비조각의 극치를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현재 보물로 지정이 되어 있습니다.

 

 

앞면 가운데는 쌍봉산철감선사비명라는 전액이 두줄로 새겨져 있습니다. 

 

 

앞 오른발 발가락 세개를 들어 올린 표현이 재미있습니다.

 

 

옆에서 본 장면입니다.

 

 

뒤에서 본 장면

 

 

꼬리를 한쪽으로 휘감아 있는 모습이 특이합니다.

 

 

비신이 없어진것도 안타깝지만 상층부의 용 비늘 모양이 하나가 떨어져 없는 것도 많이 아쉽습니다.

저 용비늘은 상층부 이수와 같은 돌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러니까 큰 돌을 파서 저 비늘을 만들면서 더 파 내려가면서 상층부 작품을 만든 형태입니다.

놀랍습니다.

 

 

이곳 철감선사탑이나 탑비가 있는 곳까지는 많이 찾아 올라 오지 않네요.

절보다도 더 멋진 장면을 자세히 보고 갔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한참 있으니 몇 분이 올라와서 대략 둘러보고 내려 갑니다.

 

 

절 건너편으로도 산빛에 단풍이 가득 합니다.

이제 가을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주지스님께서 단체로 방문한 일행들께 절의 내력을 설명하는 모습이 보여지네요.

 

 

 

되돌아 나오면서도 자꾸 돌아보게 됩니다.

담장 너머로 여운을 남기며 차에 올랐습니다.

언제 다시 또 찾아 올지는 모르지만 하얀 겨울에 한번 더 왔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