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강십리대숲 위치
高倚 白雲阿 높이 구름에 기대어 있구나.
北帶 靑瑤嶂 북쪽으로 푸른 언덕을 둘렀고
南襟 綠簟波 남으로 대밭과 강물이 둘렀네.
濺珠 泉滴滴 샘에서 물은 퐁퐁 솟고
蘇徑 行降虎 이끼 길에 호랑이는 오가고
荷池 坐護鵝 연못가에 오리떼가 앉았구나.
炎光 侵楹少 난간에 들어오는 햇빛은 적으나
爽藾 入樓多 누에 들어오는 솔바람소리는 많구나
飽得 山中樂 이렇게 산중의 낙을 실컷 즐기니
誰能 更問他 누가 다르것을 물어 무엇하리오
대략 30년전만 하여도 대구는 우리나라 3대 도시로서 경공업의 메카로 아주 활기찬 도시였는데 지금은 그때의 명성은 어디로 사라졌는지 흔적도 없고 대기업 하나없는 초라한 소비도시가 되어 이제는 몇대도시에 명함도 내밀지 못하고 있는데..
울산은 70년대 조그만 어촌마을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대한민국 공업도시의 심장으로 자리하여 집값도 대구보다 비싸고 규모도 크고 살기도 좋고 돈도 펑펑 날아 다니고 ....
태화강대나무숲 안내도입니다.
어디로 들어가서 어디로 나와야 하는지는 전혀 문제 없습니다.
어무곳으로 들어가서 아무곳으로 나와도 됩니다.
입구 출구 없습니다.
생태공원 앞에는 자전거 대여소가 있는데 네발자건거를 대여하고 있습니다.
대숲에는 타고 들어갈 수 없지만 인근 공원을 둘러보기에는 아주 안성맞춤이 아닐까 합니다.
태화강 대공원이라고 쓰인 돌비석 뒤로 대나무 숲이 보여 집니다.
태화강 십리대나무숲의 전체 풍경
산자락 아래로 좌우로 죽~ 펼쳐진 것이 대나무 숲입니다.
위 사진은 클릭하면 크게 보여 집니다.
억새가 아닌 갈대가 강가에 자리하여 운치를 더하고 있네요.
갈대와 대나무 숲
여울에 조영되는 아파트 빌딩도 대나무숲과 어울려 조화가 됩니다.
국화꽃밭인데 가을철에 들리면 정말 보기가 좋을것 같습니다.
이제 대나무 숲으로 들어 갑니다.
어딜 찍거나 사진 풍경이 비슷합니다.
바람이 대숲을지나가는 소릴 들어 보셨나요?
귀가 간질간질 합니다..^^
맨 왼쪽으로 빠져 나가려다 낑겨서 통과 불가.
중간에 오죽(검은 대나무)도 제법 있네요.
태화강가로 나와서 거닐수도 있습니다.
건너편에 있는 건물은 취수장인데 리모델링하여서 전망대와 카페로 사용 중입니다.
나룻배가 왔다갔다 하면서 사람들을 실어 나릅니다.
우측에 있는 벤치를 눈여겨 보시길 바랍니다.
살아있는 대나무 하나를 벤치 복판에 심어 두었네요.
멋진 대숲에 비하여 사람들은 별로 없어 호젓한 편입니다.
천천히 힐링하며 거닐기 참 좋은 곳...
십리대밭교란 다리.
한바퀴둘러보고 나오는데 기온은 더 올라가 있습니다.
아이들도 많이 나와 있네요.
다음에 우리집에 있는 꼬맹이들 데리고 한번 더 와야 겠습니다.
출출한 점심시간.
대나무 숲에서 차로 10분 거리에 있는 오래된 한식식당 함양집에 들렸습니다.
4대째 이어오고 있는 집이구요.
1024년에 시작하였으니 94년의 역사입니다.
우리나라 한식당으로는 6번째 오래된 식당이구요.
주 메뉴는 전통비빔밥.
보통과 특의 차이는 육회 양입니다.
육회는 생으로 주문 할 수도 있고 익힌 것으로도 가능 합니다.
머리 제거한 콩나물을 어르신들도 먹기좋게 썰어서 올리고 밥은 살짝 밑간이 되어 있으며 미나리 시금치 고사리 무나물등과 양념으로 비빈 육회 그리고 계란지단이 상단에 올려지고 참기름 살짝 두르고.. 미감, 식감을 자극하게 만들었습니다.
백년 가까이 되어가는 함양집 별미..
비빔밥의 맛은 어떨까요?
가서 먹어 보시면 알 수 있겠네요. ㅎ
'여행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양사 고불매와 선암사 홍매화는 이제 활짝 피다. (8) | 2018.04.01 |
---|---|
화본역 급수탑과 테마박물관 엄마아빠 어렸을적에 (8) | 2018.03.29 |
산수유를 가장 예쁘게 볼 수 있는 의성 화전마을 (13) | 2018.03.28 |
거제 공곶이에 핀 노란 수선화 (11) | 2018.03.26 |
못생긴 은진미륵 드디어 국보 되다. (19) | 2018.03.22 |
울산 태화강대나무숲과 전통비빔밥 함양집 (10) | 2018.03.04 |
낙안읍성과 돌탑공원 (8) | 2018.02.24 |
전국에서 가장 일찍 피는 매화, 순천 금둔사의 납월매 (18) | 2018.02.22 |
한국의 산토리니라 불리는 부산 영도의 흰여울문화마을 (16) | 2018.02.12 |
대가야의 역사를 보여주는 고령 지산동 고분군 (14) | 2018.01.25 |
성철스님의 삼천배로 유명한 해인사 백련암 (8) | 2018.01.07 |
댓글을 달아 주세요
가끔 울산시내을 차로 이동하다 보면 강쪽에 대숲이 보이곤하여 약간은 궁금하였던 곳이 였습니다.
그런데 얼마전부터 방송에서 자주 소개하여 주는 덕분에 십리대숲길이라는 것을 알게 되였습니다.
오늘 사진으로 보니 역시 남쪽이고 바닷가 지역이라 그런지
파란 댓잎이 아주 보기가 좋습니다.
동네 건너다 보이는 마을이 죽촌이라 대나무가 많이 있는곳이 있고
저희집 입구나 근처에도 대나무 투성이인데 올해는 혹한에 누렇게 변하였답니다.
5~6년전에 그때도 겨울 강추위에 대나무가 동해를 입어서 그리 되였던 기억이고
올해도 며칠간 강추위에 몇년전보다는 조금 덜하지만 대나무들이 보기 흉할 정도로 누렇게 변하였습니다.
그런데 울산에 대나무숲을 보니 변함 없는 푸른색에 역시 대나무는 그런 생각이드군요....
저도 바다도 보고 새로 개통한 울산에 큰다리도 보고 대나무 숲도 보고
까마귀 똥도 머리에 한번 뒤집어 쓸작정도 하고 울산쪽으로 가보고 싶은 생각입니다....ㅎ
그리고 함양집에 비빔밥은 먹으러가게 되도 일단 기대는 접어서 주머니속에 넣고 갈까 합니다.
그냥 그러려니 하면 맛이 괜찮은데 공연히 기대를 하였다가는...............^^
제 어릴때 시골 동네에 대밭이 있었는데 그걸 한번씩 내다 팔때는 거들어 주곤 했던 추억이 있습니다.
그 시절에는 대나무가 아주 요긴하게 사용되는 곳이 많아서 대나무밭을 가진 집은 모두 부자이기도 하였습니다.
지금은 시절이 변하여 대나무 용도가 거의 없어져 버렸으니 격세지감입니다.
날씨가 조금 더 따스하여져 꽃들이 많이 피어 있을무렵 들리시면 아주 좋을것 같습니다.
이곳 태화강 대숲은 까마귀들이 엄청나게 많아 저녁이면 까마귀들의 군무가 장관인데 저도 돌아 오는 길이 까마귀떼들을 만났는데 사진으로는 담지 못헸습니다.
함양집 비빔밥은 형수님표 식사를 드시는 형님께는 그리와 닿지 않으실듯 합니다.
말씀대로 그냥 그러려느니 하고 들리시는게 나을듯 합니다..^^
80년대쯤 제가 한창 울산을 제 집 드나 들듯이 댕기던 때가 있었는데
그때 지금은 없어지고 현대백화점이 되었던가?....암튼 주리원 백화점 쪽에 자주 갈 일이 있었습니다
바로 그 뒤에 태화강이 흐르고 있었는데 당시엔 거의 죽어 있는 강이었고 피래미 한 마리도 살 수 없었을 정도였는데
이렇게 천지가 개벽했단 소릴 들을 정도로 확! 바뀐 사진을 보니 제가 다 기분이 좋아집니다.
거기다가 대나무숲까정 조성이 되고...말 그대로 기가 막힌 <리버 사이드>가 되 뿌렀네요.
견공들께서도 한 때는 만원 짜리도 안 물고 댕기셨다는 울산, 창원, 거제.....3대 공업도시.
세금도 많이 걷히니께 이렇게 한 때 죽었던 것도 살려냅니다.
그건 그렇고 함양집 비빔밥은 진주식으로 맛도 맛이지만 전 곁다리로 나오는 탕국이 아주 맛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울 나라 비빔밥은 전주식하고 진주식이 있는데 전주식은 탕으로 콩나물국이 나오고 진주식은 선지나 쇠고기 무우국이 나옵니다.
또 하나 아주 큰 차이는 전주식은 콩나물을 쓰고 진주식은 숙주나물을 씁니다.
태화강에다....비빔밥에다....아주 눈과 입이 즐거웠습니다만 꼭 한마디 더 하고 싶은게 있다믄
전 함양집 비빔밥에다가 작년에 먹었던 충청도 영동式 쇠고기 무웃국이 곁들여 졌다믄 더 금상첨화였겠단 생각을 해 봅니다. 꿀꺽!
정말 울산은 태화강 하나는 멋지게 살려 놓았습니다.
지금은 그 어느 도심을 흐르는 강보다도 깨끗하고 맑은 강이 되었습니다.
이런 대숲이 대구 도심에 있었다면 사람 무지 복잡할 것인데 울산이라 이곳 말고도 갈곳이 많은 동네이다 보니 그리 붐비지 않고 한적한 것이 오히려 더욱 좋았습니다.
함양집 비빔밥은 콩나물로 봐서는 전주식이고 탕국으로 봐서는 진주식이라고 봐야 할것 같습니다.
어디선가 봤는데 이곳 비빔밥이 그 둘을 복합적으로 만들어져 나온다는 내용을 본 적이 있습니다.
영동식 쇠고기 뭇국 말씀 하시니 저도 식후인데도 침이 고여 집니다..^^
물론 오래 전 기억이지만 태화강은 심한 오염으로 안쓰러운 시선으로 바라다 본 기억이 납니다.
지금 모습을 보니 제가 알던 그 태화강도 아니고 처음 본 태화강 처럼 느껴집니다.
그 지역 분들의 많은 노고가 느껴집니다.
가을에는 대나무 숲과 국화꽃도 함께 즐기면서, 대나무가 의자 가운데에 버티고 있는 의자에 앉아서 인증 샷도 찍고 싶네요^^
여행 마무리에 함양집 별미를 즐기고... ㅎ
갈 곳도, 가고 싶은 곳 많은데 ..... 경기도 주변만 돌아 댕기니..이 건 원 ..ㅎ
제가 많이 가 보고 싶은 여행지가 경기도에도 많은데 저도 늘 그런 미련을 안고 지내듯이 쏭빠님께서도 이곳 나들이가 그리 쉬운일은 아닐것 같습니다.
그래도 한번씩 기차를타고 .. 버스를 타고..
훌쩍 멀리 떠나보는것도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보구요.
저도 앞으로는 자가차량보다는 기차나 버스를 이용하는 여행을 많이 해 봐야 겠다는 생각도 하여 봅니다.
죽어있는 강을 살려 놓으니 도시가 살고 사람도 살고 물고기도 살고...
그러다가 때까마귀가 떼로 몰려와 지역주민들이 한때는 곤역을 치렀지만 이제는 서로 상생하면서 사이좋게 지내는것 같았습니다.^^
멋지네요. 태화강주변에 대나무숲을 멋지게 만들어 놨네요.
울창한 대나무 숲과 태화강이 어우려져서 가족들과 나들이 하기에도 아주 좋겠습니다.
이곳이 원래 대나무가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규모도 담양의 죽녹원보다 훨씬 큰것같은데 많이 알려지지는 않은것같습니다.
대나무 사이로 바람이 통과하는 솨아아~~하는 소리가 들리는듯합니다.^^*
육회비빔밥은 언제먹어도 최고죠. 날고기 못드시는 분들도 육회비빔밥은 드시던데요. 그걸 익혀드시는분도 있나봅니다.
에디님 께서 말씀하셨듯이 뭇국은 뭐니뭐니해도 영동 학산 뭇국이 최고죠. 창파님께선 늘 드시니 얼마나 부러운지 모르겠습니다.ㅎㅎ
아침까지 내리던 비가 그치고 바람이 강하게 불어 춥습니다. 꽃샘추위가 물러가고 꽃피는 봄이 되면 어디든 나들이라도 다녀와야겠습니다.
제가 생각할때는 단일 대숲으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규모가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대밭관리도 잘되어서 죽은 나무가없고 적당하게 밀집도가 있어 참 보기도 좋았습니다.
대나무 숲 사이를 지나가는 바람소리가 가장 듣기 좋은것 같습니다.
뭔가 가슴으로 와 닿는 소리나는 詩같다는 느낌...
비빔밥을 주문하면 고기를 익혀 올릴까요? 하고 묻는것이 신기했습니다.
말씀대로 육회를 많이 드셔보지 않는 분들은 익혀먹는것도 한 방법이겠구나 생각이 들었구요.
이곳도 오전까지 바가 내리고 있습니다.
긴 가뭄에 단비처럼 느껴지기도 하는데 이제 온갖 것들이 새 봄을 알릴려고 앞다투어 돋아 나오겠지요?
그런 봄이 어서 오기를 바래 봅니다.^^
오우 ~ 대나무 숲 정원의 아름다운 모습이 넘 보기좋아요 !
중간에 있는 의자니 조형물들도 아름답군요.
올봄부터는 정치권이 제발 정신차리고 서민들과 국가경제의 근간인 울산과 전국의 산업단지에
활황의 바람을 불러넣어서 울산의 경제도 한결 좋아지면 시민들 허리가 확 펼텐데요...
경제인들도 함게 노력하여 살기좋은 나라가 되었으면 합니다.
육회에 소주한잔 했으면 딱이겠습니다.
유라님, 새 봄입니다.
늘 건강 하시길요.
어제 뉴스에 통영의 성동조선이 법정관리에 들어갔다는 소식을 보고 참 우울했습니다.
통영을 먹여 살리는 회사인데 한 도시가 완전 침체에 빠져 버렸습니다.
일전에 군산이 또 그리하더니요.
울산도 많은 회사가 있지만 통영이나 군산이 되지 않으란 법도 없는데 ..
말씀대로 우리나라 경제가 좀 활성화 되어 실업자도 줄고 사람들의 웃음소리가 많아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쏘주생각이 확 나나요..^^